닫기

글로벌이코노믹

[美 구금사태 후폭풍] 美 공장 건설 중인 K-기업들…인력난에 일정 지연 '불가피'

글로벌이코노믹

[美 구금사태 후폭풍] 美 공장 건설 중인 K-기업들…인력난에 일정 지연 '불가피'

美 정부 단속에 국내 기업 공장 일정 차질 불가피
삼성·SK, 비자 지연에 숙련 인력 파견 막힐 우려
전문가 "제도 정비·정부 협력 통한 대응책 시급"
미국 텍사스주 테일러시에 건설 중인 삼성전자 반도체 공장 전경. 사진=연합뉴스이미지 확대보기
미국 텍사스주 테일러시에 건설 중인 삼성전자 반도체 공장 전경. 사진=연합뉴스
미국 정부가 조지아주 현대자동차·LG에너지솔루션 합작 배터리 공장을 급습해 한국인 300여명을 포함한 475명을 체포·구금하면서 그 여파가 국내 다른 기업으로 확산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수십·수백조원을 투입해 반도체·배터리 공장을 짓고 있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국내 기업들은 인력 파견과 비자 발급 불확실성으로 일정 지연이 불가피해진 것이다.

14일 업계에 따르면 이번 구금 사태로 국내 기업들은 당장 공장 건설과 운영 계획 등에 차질이 빗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 근로자들의 미국 출장 기피 가능성이 커지고 한·미 협상을 통한 비자 문제 해결에도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미국 정부가 정한 정식 비자 발급 절차에만 수개월이 소요될 가능성이 높은 만큼 사업 일정 전반에 부담이 커지고 있어서다.

특히 삼성전자의 경우 상황이 복잡하다. 삼성전자는 현재 텍사스 테일러시에 수십조원을 투입해 파운드리 공장을 건설 중이다. 애플과 테슬라 등 글로벌 고객사로부터 수주를 따낸 뒤 건설에 속도를 내고 있지만 숙련 기술자와 협력사 인력의 파견이 막히면 일정 지연을 피하기 어려울 것이란 관측이 많다. 삼성은 현재까지는 규정에 따른 비자 발급 절차를 거쳐 공사를 진행 중이라는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

SK하이닉스는 아직 미국 현지 공장 착공 전 단계라 직접적인 영향은 제한적이지만 이번 사태 이후 분위기를 예의주시하고 있다. 업계 전반에서는 반도체·배터리 분야 특성상 숙련된 국내 기술 인력의 현지 파견이 불가피한 만큼 비자 발급 지연은 결국 모든 기업에 직격탄이 될 것이란 분석이 제기된다.
황용식 세종대 경영학과 교수는 "기술자·설비 설치자 등의 파견이 불확실해지면서 향후 일정에 차질이 생길 수 있다"며 "특히 숙련 기술자나 협력사 인력이 정식비자를 이용해 파견돼야 할 경우 그 허가 시간이 많이 소요될 것"이라고 말했다.

문제는 이번 사태가 단순히 현대차·LG엔솔 합작공장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미 정부가 불법 체류·고용 단속을 강화하겠다는 방침을 공개적으로 밝히면서 국내 대기업 전체가 제2, 제3의 피해 가능성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실제 미국 내에서도 외국 인력 투입을 두고 현지 일자리 잠식을 우려하는 반발 여론이 적지 않다. 과거 TSMC가 500명의 기술 인력을 파견하려 했을 때 노조가 강하게 반대한 사례도 대표적이다.

이런 상황에서 한국 기업들이 취할 수 있는 현실적 대응 전략은 제한적이다. 황 교수는 "일단 제도적인 정비가 필요하다. 우리 정부와의 협력을 강화해서 신규 비자 카테고리를 신설하고, 미국과의 양자 협의를 확대하며 우리 정부와 기업이 공동 요구 및 제안서를 마련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어 황 교수는 "우리 정부가 미국 측 이민 업무 기관 또는 의회 쪽과의 대화를 통해 '외국인 노동자 단속' 정책의 기준에 대한 명확한 의견과 대책을 받아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나연진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achel0807@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