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백악관이 최근 발표된 미국의 2분기 국내총생산(GDP) 수정치를 근거로 “미국 경제가 폭발적으로 성장하고 있다”고 자평했지만 고용 부진과 소비 양극화가 여전하다는 분석이 잇따르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의 낙관론과 달리 시장은 여전히 구조적 불안이 해소되지 않았다고 보고 있다.
◇ 셧다운 여파 속 민간 고용 3만2000명 감소
미국 연방정부의 셧다운으로 노동통계국(BLS)의 공식 통계가 중단된 가운데 민간 고용 분석업체 ADP는 9월 민간 부문 일자리가 3만2000개 감소했다고 밝혔다. 이는 전달의 2만2000개 증가에서 다시 역전된 것으로 경기 회복세가 일자리 확대로 이어지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 백악관 “장기 회복의 신호”…시장 “정치적 수사”
백악관은 경제분석국(BEA)이 지난 2분기 GDP 성장률을 3.8%로 상향 조정한 발표를 근거로 “미국 경제가 2년 만에 가장 빠른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며 “소비 회복, 제조업 투자, 감세 정책의 효과가 복합적으로 나타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이를 “정치적 수사에 가깝다”고 평가했다. 제임스 해리스 뉴욕대 경제학 교수는 “백악관의 메시지는 대선을 앞둔 정치적 프레임에 가깝다”며 “실질임금과 고용 회복이 동반되지 않는 성장은 불완전하다”고 말했다.
◇ 소비 확산 제한…“체감경기 냉각 상태”
금융 전문지 머니와이즈는 “최근 소비 증가세가 상위 10% 고소득층을 중심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중하위 계층의 소비 여력은 여전히 위축돼 있다”고 전했다. 인플레이션과 관세 부담이 지속되는 가운데, 금리 인하 효과도 뚜렷하지 않다는 얘기다.
금융권 관계자들은 “백악관의 ‘폭발적 성장’ 자평은 긍정적 신호라기보다 정책 홍보의 성격이 강하다”며 “실질 고용 확대와 물가 안정이 뒤따르지 않는다면 이번 성장세는 단기 반등에 그칠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
이처럼 정부는 경기 회복의 자신감을 내세우고 있지만 시장은 여전히 구조적 불균형을 우려하며 신중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