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연준 FOMC 내년 1월 금리동결

글로벌이코노믹

연준 FOMC 내년 1월 금리동결

제롬파월 금리정책 전면 재조정 1월 동결
뉴욕증시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뉴욕증시 /사진=로이터
연준 FOMC 금리인하 중단 PCE 물가 쇼크 … 뉴욕증시 "아이온큐 리게티 테슬라 비트코인 흔들"

PCE물가지수가 여전히 높은 것으로 나타나면서 뉴욕증시가 긴장하고 있다. 여기에다 제롬파월 연준 FOMC의장이 기자회견에서 점도표상 내년도 금리인하 축소를 밝히고 비트코인의 비축자산에 대해 불가능하다고 언급하면서 뉴욕증시가 동요하고 있다, 미국 뉴욕증시뿐 아니라 달러환율 국채금리 국제유가 금값 그리고 비트코인 이더리움 리플 솔라나 도지코인 등도 연준 FOMC 제롬파월 발언을 예의 주시하고 있다.

20일 뉴욕증시에 따르면 연준 FOMC 는 점도표상 금리인하 횟수가 4번에서 2번으로 축소된 것과 관련하여 당장 내년 1월 금리인하를 중단하고 금리동결하는 쪽으로 정책 방향을 돌리고 있다, 9월부터 계속 이어지던 연준의 금리인하가 중단되어 금리 동결이 발표될 경우 뉴욕증시는 상당한 충격을 받게 될 것으로 보인다. 비트코인 이더리움 리플 솔라나 도지코인등 가상 암호화폐도 그동안 금리인하의 수혜를 입어온 만큼 2025년 금리동결이 낮선 환경이 될 전망이다. 미국 연준 FOMC의 금리인하 전면재조정이 뉴욕증시를 흔들고 있다. 점도표 수정으로 내년 금리인하가 줄어들 수도 있다는 전망에 뉴욕증시가 긴장하고 있다. 뉴욕증시에서는 테슬라 리게티 아이온큐 엔비디아 비트코인등이 큰 폭으로 움직이고 있다.

◇ 뉴욕증시 주간 전망 및 주요 일정 및 연설
12월 20일= 11월 개인소비지출(PCE) 가격지수 및 개인소득, 월 미시간대학교 소비자태도지수 확정치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중시하는 인플레이션 지표가 11월 들어서도 둔화세를 멈추고 정체된 모습을 이어갔다. 물가 상승률이 전문가 예상 수준에는 못 미친 데다가 물가지수의 최근 흐름을 반영하는 전월 대비 상승률이 0.1%로 둔화해 시장에 안도감을 줬다. 미국 상무부는 11월 개인소비지출(PCE) 가격지수가 전년 동월 대비 2.4% 상승했다고 밝혔다. PCE물가지수는 10월 상승률(2.3%)보다 0.1% 포인트 높아지면서 지난 7월(2.5%) 이후 4개월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전월 대비 상승률은 10월 0.2%에서 11월 0.1%로 낮아졌다.

에너지와 식료품을 제외한 근원 PCE 가격지수 상승률은 전년 동월 대비 2.8%로, 10월과 동일했다. 전월 대비로는 0.1% 상승했다. 근원지수는 대표지수에서 단기 변동성이 큰 에너지와 식료품 가격을 제외한 지표로, 물가의 기조적인 흐름을 상대적으로 더 잘 반영한다고 여겨진다. 이날 발표된 대표지수 및 근원지수의 전년 대비 및 전월 대비 상승률 모두 다우존스가 집계한 전문가 전망치를 각각 0.1%포인트 밑돌았다. 명목 소비지출 증가율은 0.4%로 전문가 전망(0.5%)을 밑돌았다. PCE 가격지수는 미국 거주자들이 상품과 서비스를 구매할 때 지불하는 가격을 측정하는 물가 지표다. 연준은 '2% 물가상승률'이라는 통화정책 목표 달성 여부를 판단할 때 상대적으로 더 널리 알려진 소비자물가지수(CPI) 대신 PCE 가격지수를 준거로 삼는다.

물가의 기조적 흐름을 반영하는 근원 PCE 가격지수 상승률은 지난 7∼9월 3개월 연속 2.7%에 머물다가 10∼11월 2.8%로 높아지며 둔화세가 멈춘 상태다. 앞서 발표된 11월 미국의 소비자물가 상승률도 전년 동기 대비 2.7%로, 10월 상승률 대비 0.1%포인트 올랐다. 이 때문에 시장 안팎에서 인플레이션 둔화세가 멈춘 것 아니냐는 우려를 낳았고, 결국 연준도 지난 18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후 "금리 조정 속도를 늦추는 게 적절한 지점에 도달했다"며 매파적(통화긴축 선호)으로 정책 입장을 바꿨다. 시장은 이날 발표된 PCE 물가지표가 "예상보단 나쁘지 않다"며 안도하는 분위기다.


김대호 글로벌이코노믹 연구소장 tiger8280@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