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국내 건강식품시장은 홍삼을 재료로 하는 시장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고, 미국에서 수입된 건강관련 제품들은 1조원대의 상품이 유통되고 있다. 숙취해소음료시장은 2005년 600억원에서 해마다 20% 이상씩 성장하여 2015년에는 10년 전의 3배가 넘는 2000억원을 돌파했다. 국내 굴지의 대기업들이 헛개나무와 오리나무 등의 약용작물을 활용한 제품으로 국내외 숙취해소음료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약용작물을 성분으로 이해하고 추출하여 기능성식품으로 한다면 우리의 세포가 필요로 하는 중요한 영양성분들과 대사의 균형을 맞추는 작용을 하게 될 것이다. 약용작물을 원재료로 한 상품은 미래의 건강과 노화방지의 중요한 대안이 될 것이 확실해 보이며 약용작물을 이용한 산업화는 분명 세계적인 추세이다. 시장이 있고 가능성이 있는 만큼 경쟁도 치열하다. 이미 선진국에서는 전 세계의 약용작물을 수거하여 과학적인 장비를 이용하여 과학적인 검증을 거쳐서 제품이 하루가 다르게 출시되고 있다. 따라서 국가적인 차원에서 약용작물 산업화를 위한 교육과 제조기반을 갖춘 기업에 많은 지원을 해야 한다.
건강하게 자신이 하고 싶은 일을 충분히 하고 생을 마감하는 것이 모든 이의 꿈일 것이다. 건강한 신체와 타인에게 의지하지 않는 노년을 위한 대안은 고전의학과 생화학적인 원리가 적용된 약용작물 응용상품을 통한 건강관리가 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약용작물을 바른 지식으로 가공하고 상품화하고 재화로 바꾸기 위해서는 국가와 기업, 대학 및 개인은 각고의 노력을 해야 한다.
약용작물의 6차산업화(1차 산업에 2, 3차 산업을 복합해 높은 부가가치를 발생시키는 산업으로 변화시키는 것)의 비전은 인간의 생명이 존재하는 한 연속될 것으로 보인다. 약용작물을 이용한 건강과 뷰티, 의상 염색 등에 이르기까지 자연적인 약용작물을 이용한 산업은 국가 미래의 성장 동력이 되리라는 것은 분명해진다. 최근 늘고 있는 귀농귀촌 희망자들에게 약용작물에 대한 교육을 해서 부가가치를 더 높일 수 있게 하는 것도 필요하다. 미래 유망 분야로 부상하고 있는 약용작물산업에 대해 대학은 교육을 통해 전문인력을 양성하고, 정부와 기업은 양성되는 전문인력을 활용하여 약용작물산업을 미래 성장산업으로 키우고 일자리도 창출해야 한다.
문형남 숙명여대 교수/(사)한국약용작물교육협회 부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