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체신호 AI 기술력으로 국가 의료시스템 개선 기대

뷰노는 보건복지부가 주관하는 '중환자 특화 빅데이터 구축 및 AI 기반 임상 의사결정 지원시스템(CDSS) 개발' 사업의 컨소시엄 기업으로 선정됐다고 13일 밝혔다.
뷰노는 해당 사업 중 '딥러닝 기반 실시간 중환자실 환자 상태악화 위험도 평가 시스템 개발'의 세부 책임기관으로 서울대병원, 양산 부산대병원과 컨소시엄을 구성해 사업에 착수한다.
보건복지부가 총 430억 원 규모로 2025년까지 진행하는 이번 사업은 한국인 중환자 특성을 반영한 데이터 셋(K-MIMIC)을 구축하고, 이를 기반으로 중환자 예후 예측과 중증 위험도를 정량화해 의료진의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CDSS 개발에 목표를 둔 첫 실증 연구다.
보건복지부는 해당 사업을 통해 글로벌 수준의 의료 데이터 경쟁력을 확보하고 국내 중환자 진료의 질을 향상할 수 있는 국가 의료시스템 개선에 앞장설 방침이다.
이번 사업에서 뷰노는 패혈성 쇼크(성인, 소아, 신생아), 흉부외과 수술 후 뇌졸중, 중환자실 재입실과 실시간 사망 위험도와 같은 중환자실 내 환자의 상태 악화를 평가하는 5가지 의료 소프트웨어를 개발할 예정이다.
해당 소프트웨어들은 중환자실에서 고위험환자를 사전에 인식해 의료진들이 적기에 최소한의 의료자원으로 효율적으로 대처하도록 돕는다.
이를 통해 중증환자 예후를 개선해 중환자실 사망률을 감소시킬 뿐 아니라 제한된 중환자실 병상을 효율성 있게 운영해 국가 의료비용 감소에 보탬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예하 뷰노 이사회 의장은 "그동안 세계 학회에서 인정받아온 뷰노의 생체신호 인공지능 연구 역량을 국내 임상의사 결정 지원 시스템 구축에 발휘하게 돼 기쁘다"며 "국내 중환자실 환경에 최적화된 인공지능 시스템을 구축해 국가 의료비와 중증 환자 사망률 감소에 기여하도록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이하린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may@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