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검찰, 식약처 압수수색…코로나19 백신·치료제 인허가 관련 조사

글로벌이코노믹

검찰, 식약처 압수수색…코로나19 백신·치료제 인허가 관련 조사

식품의약품안전처CI(사진=식품의약품안전처)이미지 확대보기
식품의약품안전처CI(사진=식품의약품안전처)
서울서부지검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치료제·백신 지원과 관련해 식품의약품안전처를 대상으로 압수수색을 진행하고 있다.

12일 서울서부지검 식품의약범죄조사부는 이날 오전 9시35분부터 의약품의 임상시험승인 문제와 관련해 식약처 등 9개 장소를 압수수색하고 있다고 밝혔다. 앞서 정부는 지난 2020년부터 지난해까지 '코로나 백신 및 치료제 임상지원 사업'을 진행했다.

이 사업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통상자원부, 보건복지부 등 3개 부처가 출범시킨 국가신약개발사업단(KDDF)를 통해 진행됐다. 이 사업의 예산으로 치료제 1552억원, 백신 2575억원으로 총 4127억원을 책정됐지만 실제 실행된 예산은 총 1579억원에 불과한 것으로 알려졌다. 올해부터는 이 사업과 관련된 예산이 배정되지 않아 사업이 종료된다.

업계에서는 검찰이 식약처의 코로나19 치료제·백신 인허가 과정상 문제를 검토하기 위해 압수수색에 돌입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압수수색과 관련해 식약처 관계자는 "조사중인 사항이라 드릴 말씀이 없다"며 말을 아꼈다.

한편, KDDF를 통해 지원을 받은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은 총 14개사다. 치료제 개발사로는 △셀트리온 △GC녹십자 △대웅제약 △동화약품 △샤페론 등 5개사가 있으며 백신 개발사로는 △SK바이오사이언스 △제넥신 △진원생명과학 △셀리드 △유바이오로직스 △큐라티스 △HK이노엔 △아이진 △에스티팜 등 9개사가 지원을 받았다. 이중 개발에 성공한 기업은 SK바이오사이언스와 셀트리온뿐이며 대부분의 기업들은 임상을 중단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재현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kiscezyr@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