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헬스케어·AI신약개발 등 미래 산업 대응

협회는 산업통상자원부가 지원하고 한국산업기술진흥원(KIAT)이 전담하는 전문인력양성사업의 주관기관으로서 산업계 수요에 기반한 인재 배출에 집중하고 있다고 21일 밝혔다.
현재 운영 중인 인력양성사업은 '바이오융복합기술 전문인력양성사업(바이오융복합사업)'과 '바이오데이터산업 전문인력양성사업(이하 바이오데이터사업)' 두 가지다. 모두 디지털 전환과 바이오 혁신을 선도할 융합형 인재 확보를 목표로 하며 특히 산업계와의 연계된 산학 프로젝트를 통해 실무 적응력이 뛰어난 인재를 양성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바이오융복합사업은 디지털헬스케어와 AI 기반 바이오소재 분야의 급성장에 따른 전문인력 수요 증가에 대응하기 위한 사업으로, 2021년부터 시작해 올해로 5년차를 맞았다. 이를 통해 총 192명의 석·박사급 고급인력을 양성한다.
이와 더불어 올해 새롭게 시작된 바이오데이터사업은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는 연구개발 인력 및 AI 신약개발 분야 인력 대한 수요 증가에 발맞춰, 데이터 기반의 바이오산업 연구혁신을 주도할 고급 핵심인력 양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바이오 인포매틱스(한양대 ERICA), 바이오 데이터사이언스(고려대·부산대), AI 신약개발(서울대) 등 3개 특화 분야에 대하여 산학협력을 확대하고, 현장 투입이 가능한 실무형 인재 240여 명을 양성할 계획이다.
이들 인력양성사업의 가장 큰 특징은 산업계와의 실질적 협력이다. 수혜 학생은 1개 이상의 산학 프로젝트에 참여해야 하며 컨소시엄 기업과 함께 실제 기술적 문제를 해결해 나가며 실무 역량을 강화하게 된다. 프로젝트 주제에 따라 내부 검토를 통해 기업-학생 간 매칭이 이루어진다.
컨소시엄 참여 기업에게는 우수 인재 채용 연계, 산학 프로젝트 참여, 재직자 대상 직무향상 교육 등의 다양한 혜택이 제공된다. 관련 분야 기업이라면 누구나 컨소시엄 기업으로 참여할 수 있다. 현재 바이오융복합사업에는 약 70여 개, 바이오데이터사업에는 약 50여 개의 기업이 함께하고 있다.
컨소시엄 참여를 희망하는 기업은 한국바이오협회 석박사 인력양성사업 담당자에게 문의하면 된다.
이재현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kiscezyr@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