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GM "25% 관세에도 韓 차량 수입 지속"...中 구조조정 순조

글로벌이코노믹

GM "25% 관세에도 韓 차량 수입 지속"...中 구조조정 순조

연간 관세 부담 40~50억 달러 추산, "고품질·효율성" 이유로 유지
중국 사업 흑자 전환하며 "작지만 강력한 사업" 목표
제너럴 모터스의 한국 자회사는 막대한 관세가 부과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미국으로 배송하고 있는 자동차 제조업체의 수출 기지 역할을 계속하고 있다.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제너럴 모터스의 한국 자회사는 막대한 관세가 부과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미국으로 배송하고 있는 자동차 제조업체의 수출 기지 역할을 계속하고 있다. 사진=로이터
제너럴모터스(GM)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부과한 25%의 막대한 관세에도 불구하고 한국에서 차량을 계속 수입하고 있다고 23일 밝혔다. 이는 중국 본토 사업의 구조조정이 "순조롭게 진행"되면서 한국을 핵심 수출 기지로 활용하겠다는 전략이라고 23일(현지시각) 닛케이 아시아가 보도했다.

폴 제이콥슨 GM 최고재무책임자(CFO)는 실적 발표에서 "캐나다, 멕시코, 한국에서 자동차를 계속 생산하고 수입하고 있다"고 밝혔다. 4-6월 분기 순 관세 영향이 11억 달러에 달했지만 "고객과 딜러의 중단을 피하기 위해" 수입을 유지했다고 설명했다.

GM은 연간 관세 영향을 40억~50억 달러로 추산하고 있으며, 이 중 20억 달러가 한국GM에서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미국은 이달 초 한국 수입품에 대해 4월 발표된 "상호적" 부과금과 동일한 25% 전면 관세를 확정했다.

메리 바라 GM 회장 겸 CEO는 한국 사업을 "매우 효율적이고 고품질"이라고 평가했다. 그는 "우리가 그곳에서 생산하는 차량은 수요가 높다"며 회사 마진에 대한 기여도도 "긍정적"이어서 무거운 관세를 지불하는 것이 여전히 가치가 있다고 강조했다.
2002년 구 대우자동차를 인수해 설립된 한국GM은 GM의 핵심 수출 거점 역할을 해왔다. 2024년 국내에서 2만4824대를 판매하고 47만4735대를 수출했다. 올해 상반기에도 출하량 24만1234대, 국내 판매량 8121대를 기록하며 수출 모멘텀을 이어가고 있다.

한국GM에서는 쉐보레 트랙스 크로스오버, 쉐보레 트레일블레이저 등 인기 모델을 생산하고 있다. 바라 CEO는 "우리는 지금 우리가 있는 올바른 위치에 있다"고 강조했지만, 현재 합의가 얼마나 오래 지속될지는 불분명하다고 덧붙였다.

GM은 지난 6월 30만 대의 소형 픽업, 풀사이즈 스포츠 유틸리티 차량 및 크로스오버 생산 능력 추가를 목표로 미국에서 새로운 조립 공장 건설에 40억 달러를 투자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중국 사업과 관련해서는 긍정적인 신호를 보이고 있다. GM의 2분기 중국 주식 수입은 7100만 달러로 전년 동기 1억400만 달러 손실에서 흑자로 전환됐다. 2023년 중국 합작 투자에서 44억 달러의 지분 손실을 기록했던 것과 대조적이다.

바라 CEO는 "중국에서 성장할 수 있는 작지만 강력한 사업을 할 수 있으며, 그것이 우리가 계속 집중하고 있는 부분"이라고 강조했다. 실제로 SAIC-GM은 올해 상반기 24만5067대를 판매해 전년 대비 8.6% 증가했고, SAIC-GM-Wuling은 75만3276대로 32.2% 급증했다.

반면 관세 완화 노력에도 불구하고 GM의 2분기 매출은 전년 대비 1.8% 감소한 771억2000만 달러, 순이익은 35.4% 감소한 18억9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제이콥슨 CFO는 관세 압력이 3분기에 더욱 심해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경고했다.


신민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shincm@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