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경상의 한반도 삼한시대를 가다(257)]

신면형과 인물상 암각화가 새겨진 바위의 재질은 사질성이 강한 화강암으로 서로 비슷하여, 채석되기 전 같은 장소나 인접한 지역에 입지해 있을 가능성도 있다.
이와 같이 암각화를 채석해서 왕릉의 덮게 돌로 이용한 점은 신앙 체계의 변화 과정을 보여주는 것이라는 견해가 있다. 어쨌든 이 암각화를 통해 대가야시대 사람들은 이전 시기의 암각화에 대해서 인식하지 못했던 점만은 분명하다. 지산동 30호분 개석 암각화의 발견은 암각화 연구는 물론 가야시대 사람들의 암각화에 대한 인식과 생활상을 연구하는 귀중한 자료라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김경상 다큐멘터리 사진작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