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국내 1인당 육류 소비량 54.3㎏…연간 쌀 소비량의 94% 수준
집밥 선호 추세, 온라인 쇼핑의 대중화, 수입산 소고기 증가 영향
집밥 선호 추세, 온라인 쇼핑의 대중화, 수입산 소고기 증가 영향

7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육류 소비구조의 변화와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국내 1인당 연간 육류 소비량은 54.3㎏으로 20년 전(31.9㎏) 대비 약 71% 증가했다. 이는 국내 1인당 연간 쌀 소비량(57.7㎏)의 94%에 이르는 수준이다.
육류 소비가 증가한 원인 중 하나는 코로나19 여파로 외식 대신 ‘집밥’을 선호하는 트렌드가 자리 잡았기 때문이다. 통계청에 의하면 가정 내 육류 소비 수준을 가늠할 수 있는 온라인쇼핑 내 농‧축‧수산물 거래액은 올해 7월 기준 6240억원으로 전년 대비 30% 증가했다. 소고기 등 고급 육류의 경우 집에서 저렴하게 즐길 수 있다는 점도 육류 소비 증가를 부추긴 것으로 보인다.
신선식품까지 배송받아볼 수 있는 온라인 쇼핑의 대중화도 육류 소비 증가에 영향을 미쳤다.
2019년 26조7000억원이던 온라인 식품 시장 규모는 지난해 62.4% 상승해 43조4000억원을 기록했다. 그중 정육 제품의 온라인 구매율은 2019년 대비 10.6% 올랐다. 새벽 배송 서비스의 등장으로 집에서 바로 신선한 소고기를 배송받을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된 것도 가정 내 육류 소비에 긍정적으로 작용했다.
가격 경쟁력을 갖춘 수입산 냉장 소고기도 국내 육류 소비 증가에 한몫했다.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올해 1월∼9월 냉장 소고기 수입량은 8만8919t으로 역대 최대치를 달성했다.
전체 수입 소고기 중 냉장 비중은 2019년 20%에서 지난해 23.1%로 늘었고, 올해는 26.8%까지 확대됐다.
식품업계 한 관계자는 “최근 국내 육류 소비가 쌀 소비량과 맞먹는 수준으로 증가했다”며 “코로나19 장기화로 집밥 수요가 증가하고, 신선식품의 온라인 구매가 대중화된 데다, 가격경쟁력을 갖춘 고품질 수입고기가 알려지며 육류 소비가 많아졌다”고 말했다.
손민지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minjizzang@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