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식경로매출 41%, 급식경로매출 55% 증가…PB상품 포트폴리오 강화 주력

CJ프레시웨이는 국내 소스 시장이 3조원 규모로 성장하는 흐름에 발맞춰 프랜차이즈 전용 소스와 대용량 완제 소스 등 맞춤형 상품을 내놓고 고객 수요에 발 빠르게 대응한 전략이 주효했다고 분석했다.
전체 소스 판매량의 약 81% 규모를 차지하는 외식 경로 매출은 전년동기대비 41% 늘었다. CJ프레시웨이는 일부 프랜차이즈 고객사를 대상으로 전용 소스 레시피 개발을 지원하고 이를 상품화해 공급하고 있다. 급식 경로 소스류 매출은 B2B 전용 소스 상품 수요 증가로 전년 대비 55% 증가하며 외식 경로 대비 높은 성장세를 기록했다.
CJ프레시웨이 소스 상품군은 한식, 양식, 일식, 중식, 동남아식 소스 등 카테고리별 특화 상품으로 구성됐다. 여기에는 센트럴 키친(중앙 집중식 조리시설)과 고객 맞춤형 밀솔루션 상품군에 특화된 프레시플러스의 제조 상품도 포함된다. CJ프레시웨이는 소스류 상품의 전반적인 수요 확대에 힘입어 자체 제조 상품을 확대하는 데에도 속도를 올리는 중이다. 올해 상반기 센트럴 키친 생산 제품의 유통 규모는 전년동기대비 3배 이상 늘었다.
하반기에는 다양한 신제품을 통해 PB상품 포트폴리오를 강화할 계획이다. 이달 초에는 식품 유통 전문 브랜드 ‘이츠웰’을 통해 마라 로제 떡볶이 소스, 중화 비빔밥 소스, 고기 짬뽕 소스 등 완제 소스류를 선보였다. 다국적 음식의 일상화 트렌드를 반영해 팟타이 소스, 탄두리 치킨 소스 등 동남아식 요리용 라인업도 확대했다. 최근에는 K-외식 메뉴의 인기를 반영해 해외 소비자를 겨냥한 소스도 개발 중이다.
CJ프레시웨이 관계자는 “소스 상품은 개발 과정에서 뛰어난 맛을 구현해 내는 것도 중요하지만 전처리 간소화와 재료비 절감 효과 등 고객 편의를 개선하는 솔루션 요소도 중요하게 고려돼야 한다”라며 “지난 6월 신설된 통합 R&D 센터의 상품 개발 역량과 센트럴 키친, 자회사 프레시플러스의 제조 역량 간 시너지를 바탕으로 고객 맞춤형 상품 공급을 확대하는 ‘밀 솔루션’ 전략에 속도를 더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CJ프레시웨이의 올해 상반기 식자재 유통사업 부문 매출은 1조1043억 원을 기록하며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10.3%의 성장을 이룬 것으로 나타났다.
김성준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sjkim91@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