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기아대책, ‘이주배경아동이 마주한 세 가지 장벽’ 이슈리포트 발간

글로벌이코노믹

기아대책, ‘이주배경아동이 마주한 세 가지 장벽’ 이슈리포트 발간

희망친구 기아대책은 ‘이주배경아동이 마주한 세 가지 장벽’을 주제로 한 2025년 이슈리포트를 발간했다.  사진=희망친구 기아대책이미지 확대보기
희망친구 기아대책은 ‘이주배경아동이 마주한 세 가지 장벽’을 주제로 한 2025년 이슈리포트를 발간했다. 사진=희망친구 기아대책
희망친구 기아대책은 국내 이주배경 아동이 교육·돌봄·진로 영역에서 마주하고 있는 구조적 어려움을 심층 분석한 이슈리포트 ‘이주배경아동이 마주한 세 가지 장벽, Bridge the Gap, Be the Bridge’을 발간했다고 28일 밝혔다.

기아대책은 국내 이주배경 아동·가정의 수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음에도, 여전히 제도적 공백과 정책 사각지대가 존재함을 주목해 이번 리포트를 발간했다. 단순한 지원을 넘어, 사회적 인식 개선과 제도적 변화를 이끌기 위한 데이터 기반의 연구를 통해 향후 이주배경아동에 대한 사업 방향성과 옹호활동의 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

이슈리포트는 지난 5년간(2020~2024) 데이터 분석과 10개 현장기관·전문가 인터뷰, 이주배경 청소년·청년 225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아이들이 성장 과정에서 마주하는 구조적 어려움을 면밀히 분석했다. 그 결과 이주배경아동이 겪는 주요 사회적 장벽은 교육(50%), 돌봄(41%), 진로(34%)의 세 가지 영역으로 도출됐다. 조사에 참여한 청소년 중 42%는 “지금도 그 장벽을 넘지 못했다”고 응답했다.

리포트에서는 이주배경 아동의 문제를 개인의 적응이 아닌 사회 구조와 제도의 문제로 바라봐야 한다고 제안한다. 이를 위해 △사회적 지지체계 강화 △중도입국 아동 맞춤 지원 △생애주기별 맞춤형 돌봄과 교육체계 구축 △인식 개선 캠페인 추진 등 다층적 대응 방향을 제시했다.
장소영 희망친구 기아대책 국내사업본부장은 “이번 이슈리포트는 한국 사회 안에서 이주배경 아동이 겪는 ‘보이지 않는 장벽’을 데이터와 목소리로 보여준 첫 자료”라며 “아이들이 사회적 울타리 안에서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교육·돌봄·진로를 잇는 통합 지원 확대와 공공·지역사회가 함께 참여하는 연결망 구축에 힘쓸 것”이라고 말했다.

기아대책은 이주배경 아동과 가정이 차별 없이 성장할 수 있는 사회적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통합지원 강화와 사회적 연결망 구축, 제도적 변화 확산을 핵심 과제로 삼고 관련 사업을 지속 추진해 나갈 예정이다.


조용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yccho@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