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대부중개플랫폼, 불법사금융 온상 돼

글로벌이코노믹

대부중개플랫폼, 불법사금융 온상 돼

20만명 개인정보, 건당 5000원 주고 판매
대부업체, 해킹으로 고객 전화번호 노출
급전이 필요한 사람을 노리는 불법사금융이 대부중개플랫폼에서 버젓이 활개치고 있다. 이들은 100만원을 빌려주면 열흘 뒤 140만원을 갚으라고 요구한다. 연이율로 환산하면 연 2000%가 넘는 고금리다. 벽 한쪽을 수 놓은 대출 광고 전단지 모습.  사진=글로벌이코노믹 DB 이미지 확대보기
급전이 필요한 사람을 노리는 불법사금융이 대부중개플랫폼에서 버젓이 활개치고 있다. 이들은 100만원을 빌려주면 열흘 뒤 140만원을 갚으라고 요구한다. 연이율로 환산하면 연 2000%가 넘는 고금리다. 벽 한쪽을 수 놓은 대출 광고 전단지 모습. 사진=글로벌이코노믹 DB
"신용불량자인데 100만원 급전이 필요합니다. 10일 내에 갚겠습니다." 직장인 3년차 A씨는 신용불량자로 제도권 금융을 이용할 수 없다. 결국 100만원이라는 급전이 필요해 대부중개플랫폼의 문을 두드렸다. 그는 '대출나라' 홈페이지에 "100만원을 빌리고 싶다"는 상담의 글까지 올렸다. 그는 "통신사 미납이 있다"고 밝히며 "4대보험 가입 직장인인 만큼 10일 안에 모두 갚겠다"고 했다.

23일 금융권에 따르면 대내외 경제 악화로 급전이 시급해 대부중개플랫폼의 문을 두드리는 사람이 늘고 있다. 대부중개플랫폼은 일종의 '대출 역경매'가 일어나는 대부중개업 사이트다. 급전이 필요한 사람이 금액과 본인의 개인정보를 올리면 대부업체가 연락을 취하게 된다.

문제는 급전이 필요한 사람을 노리는 불법사금융이 대부중개플랫폼에서 버젓이 활개 치고 있다는 데 있다. 이들은 100만원을 빌려주면 열흘 뒤 140만원을 갚으라고 요구한다. 연이율로 환산하면 연 2000%가 넘는 고금리다.

실제,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4월부터 12월 말까지 채무자대리인 신청자 4313명 중 약 80.1%(3455명)가 대부 중개플랫폼을 통해 불법사금융을 접했다. 무엇보다 대부중개플랫폼에서 고객의 개인신용정보가 불법사금융 조직에 거래되고, 해킹도 빈번하게 일어났다.
지난달 금감원·경기도청·경찰청·금융보안원이 경기도에 등록된 대부중개플랫폼 7개에 대한 합동 점검에 나선 결과, 대부분의 업체에서 이같은 사실이 드러났다.

A대부중개는 약 20만명의 개인신용정보를 고객 동의 없이 대부업자는 물론 불법 사금융업자에게 건별 1000원~5000원에 팔았다. 금감원은 신용정보법 위반 혐의로 경찰에 수사 의뢰 했다.

유출된 개인식별정보는 주소·연락처·생년월일·직장·연봉·가족관계·부동산 현황 등이 담겨 있다. 이밖에도 대출·연체이력, 신용점수 등 신용정보도 거래됐다. 개인신용정보 유출은 다시 불법사금융의 표적으로 활용되는 2차 범죄로 이어진다.

또 B·C대부중개의 경우 홈페이지에 등록 대부업자 광고만 취급해 안전하다고 홍보했다. 하지만 실제로는 일부 불법 사금융업자 관련 광고도 게재했다.

이에 금감원 합동점검반은 해당 업체에 대해 허위·과장 광고에 따른 영업정지 3개월·과태료 200만원을 부과했다. 광고를 의뢰한 불법 사금융업자 등에 대해서도 대부업법 위반 혐의로 수사 의뢰했다.

D·E·F대부중개는 제3자의 해킹 등으로 개인정보가 불법 사금융업자 등에게 무단 유출된 것으로 의심된다. 불상의 제3자가 11분간 1909회 해킹을 시도했으며 플랫폼에 광고를 게시했던 특정 대부업체가 해킹으로 고객 전화번호를 몰래 열람키도 했다.

합동점검반은 해당 업체 관련, 정보통신망법 · 개인정보법 위반 여부 등을 확인코자 경찰에 수사의뢰했다.

아울러 금감원은 대부중개플랫폼에 대해 개인정보를 과도하게 수집하지 않도록 권고하고, 개인정보를 수집하는 경우 개인정보 수집·이용·제공 관련 고객 동의서에 개인정보 삭제 시기와 주체·방법 등을 구체적으로 명시토록 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전국 지자체 및 수사기관과의 협력과 지원에 적극 나서겠다"며 "불법 사금융과 대부업자 등의 불법행위에 따른 서민 취약계층의 피해를 방지코자 적극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손규미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bal47@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