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 ‘2025년 2월 말 외환보유액’ 4092억 달러
'강달러' 완화에도 국민연금과 외환스와프 확대 영향
'강달러' 완화에도 국민연금과 외환스와프 확대 영향

한국은행이 6일 발표한 ‘2025년 2월 말 외환보유액’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외환보유액은 4092억1000만 달러로 한 달 전(4110억1000만 달러)보다 18억 달러 감소했다.
이 같은 외환보유액은 지난 2020년 5월 4073억1000만 달러 이후 최저 수준이다.
2월 외환보유액 감소는 달러 하락에 기타 통화 외화자산의 달러 환산액은 늘었으나 국민연금과의 외환스와프 확대가 영향을 미쳤다고 한은 측은 밝혔다. 외환당국의 변동성 완화 조치에 따른 달러 매도도 일부 영향을 미쳤다.
앞서 외환당국은 지난해 12월 당시 500억 달러 수준이던 국민연금과의 외환스와프 거래 한도를 650억 달러로 확대했다. 이 경우 외환보유액이 일시적으로 감소하다가 만기가 도래하면 환원된다.
외환보유액 가운데 유가증권은 3573억8000만 달러로 전월(3620억2000만 달러)보다 46억4000만 달러 줄었다. 반면 예치금은 한 달 전보다 27억1000만 달러 늘어난 280억1000만 달러다.
금은 47억9000만 달러로 전월과 동일, IMF포지션도 41억9000만 달러로 전월과 같았다. 특별인출권(SDR)은 148억4000만 달러로 전월보다 1억3000만 달러 늘었다.
우리나라 외환보유액은 지난 1월 말 기준 주요국과 비교해 9위를 차지했다. 중국이 67억 달러 늘어난 3조2090억 달러로 1위를 달렸으며, 일본, 스위스, 인도가 각각 1조2406억 달러, 9173억 달러, 6306억 달러로 뒤를 이었다.
이민지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mj@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