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석유·농산물·외식 다 올랐다…2월 소비자물가 두 달 연속 2%대

글로벌이코노믹

석유·농산물·외식 다 올랐다…2월 소비자물가 두 달 연속 2%대

통계청, ‘2025년 2월 소비자물가동향’
생산자물가 석달 연속 오름세에 예견된 수순
서울 시내 한 주유소 모습. 사진=연합뉴스 이미지 확대보기
서울 시내 한 주유소 모습. 사진=연합뉴스
지난달 소비자물가가 전년 대비 2% 올랐다. 고환율 여파에 석유류 가격이 크게 올랐으며, 농축산물도 무, 배추 등 일부 품목을 위주로 큰 상승률을 보였다.

6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5년 2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16.08(2020년=100)로 전년 동월 대비 2.0% 상승했다.

품목 성질별로 살펴보면 전기·가스·수도가 전년 동월 대비 3.1% 크게 올랐으며 공업제품 2.0%, 상품 1.9%, 농축수산물 1.0% 등 순이었다.

공업제품 가운데 석유류는 전년 동월 대비 6.3% 올라 물가를 0.24%포인트(p) 끌어올렸다. 휘발유가 7.2%, 경유가 5.3% 상승했다.
이두원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환율이나 유류세 인하분 축소 영향이 있었다”고 말했다.

공업제품 중 가공식품도 하반기 출고가 인상 영향으로 전년 동월 대비 2.9% 상승했다.

아울러 지난달 농축수산물 물가는 1.0% 상승, 3개월 연속 상승 폭은 축소됐다. 다만 작황 부진 여파로 무(89.2%), 배추(65.3%) 등의 물가 상승 폭이 컸다.

서비스 물가는 전년 동월 대비 2.1% 올랐다. 집세 0.7%, 공공서비스 0.8%, 외식 3.0%로 각각 집계됐으며, 외식을 제외한 개인 서비스는 2.9% 상승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10월 1.3% 낮아졌으나 같은 해 11월 1.5%, 12월 1.9%로 오른 뒤 올해 1월 2.2%로 2%대에 들어섰다.

이런 상승률은 생산자물가 오름세에 예견된 수순이었다. 생산자물가는 통상 1~3개월 시차를 두고 소비자물가에 반영되는데,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11월부터 올해 1월까지 오름세가 지속됐다.

소비자들 체감을 위한 생활물가지수는 119.29(2020=100)로 2.6% 올라 지난해 7월(3.0%) 이후 가장 큰 상승 폭을 기록했다.

정부는 농수산물 비축·방출 및 할인지원 등을 지속하는 한편, 주요 품목별 물가동향을 점검하고 가격 불안 품목에 대해선 대응방안을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이민지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mj@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