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원장은 이날 서울 여의도 금감원 본원에서 열린 취임식에서 "부동산 가격 상승이 가계대출의 확대를 부추기고, 이는 다시 부동산 가격을 올리는 악순환이 형성되고 있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사실상 6·27 대책 이후 강화된 대출규제 기조를 이어가겠다는 방침을 밝힌 것으로 해석된다.
아울러 이 원장은 향후 금융감독 방향으로 △도약을 위한 혁신 기반 마련 △공정한 시장질서 확립 △주택·건설 금융 정상화 △금융 안정 수호 등을 제시했다.
공정한 시장질서 확립을 위해 주가 조작 등에 무관용 원칙으로 대응하겠다고 강조했다. 이 원장은 "최근 국회에서 통과된 상법 개정안의 성공적인 안착을 지원해 대주주와 일반주주 모두의 권익이 공평하게 존중받을 수 있는 질서를 잡아나가겠다"면서 "주가 조작이나 독점 지위 남용 등 시장의 질서와 공정을 훼손하는 행위에 대해 무관용의 원칙으로 엄정히 대응해 나가겠다"고 언급했다. 또한 금융소비자보호처(금소처) 분리 가능성을 의식한 듯 "금소처의 업무체계 혁신과 전문성·효율성 제고에 힘쓰겠다"고 강조했다.
부실화된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의 조속한 정상화도 약속했다. 그는 "많은 규모의 부동산 PF 대출이 부실화되면서 주택 공급이 심각하게 지연되고 있다"면서 "PF 잔존부실을 신속히 해소하고, 정책금융과의 연계를 통해 우량 사업장의 정상화를 뒷받침하는 등 원활한 주택공급이 가능한 금융 환경을 조성하겠다"고 했다.
1964년생인 이 금감원장은 서울대 법대를 졸업하고 28회 사법시험에 합격한 뒤 변호사로 활동했다. 그는 이재명 대통령과 사법연수원 동기로 노동법학회에서 함께 활동한 인물로 이 대통령의 최측근으로 여겨진다. 특히 이 원장은 이 대통령의 '쌍방울 대북송금 의혹' 재판에서 변호인을 맡은 바 있다.
앞서 금감원장 자리는 이복현 전 금감원장이 지난 6월 초 퇴임한 후 두 달 넘게 공석이었다.
정성화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sh1220@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