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반도체 수출 호조 9월 경상수지 134.7억달러 흑자…역대 2위

글로벌이코노믹

반도체 수출 호조 9월 경상수지 134.7억달러 흑자…역대 2위

9월 기준은 역대 사상 최대 흑자
29개월째 흑자…역대 2번째
9월까지 누적 827.7억달러 흑자
연간 전망치 1100억달러 웃돌듯
한국은행이 6일 발표한 국제수지 잠정 통계에 따르면 9월 경상수지는 134억7000만 달러(약 19조4000억 원) 흑자로 집계됐다. 부산 남구 신선대부두 야적장에 수출입 컨테이너가 가득 쌓여 있다. 사진=뉴시스이미지 확대보기
한국은행이 6일 발표한 국제수지 잠정 통계에 따르면 9월 경상수지는 134억7000만 달러(약 19조4000억 원) 흑자로 집계됐다. 부산 남구 신선대부두 야적장에 수출입 컨테이너가 가득 쌓여 있다. 사진=뉴시스
반도체 등 수출 호조로 지난 9월 우리나라 경상수지 흑자 규모가 134억 달러를 웃돌며 역대 2위를 기록했다. 올해 들어 9월까지 누적 경상수지 흑자 규모는 827억7000만 달러로 한국은행이 제시한 올해 연간 흑자 전망치(1100억 달러)를 무난히 달성할 것으로 보인다.

한은이 6일 발표한 국제수지 잠정 통계에 따르면 9월 경상수지는 134억7000만 달러(약 19조4000억 원) 흑자로 집계됐다.

전월인 8월(+91억5000만 달러)과 전년 동월(+112억9000만 달러)보다 각각 43억2000만 달러, 21억8000만 달러 늘어 월간 흑자 기준으로 역대 2위이자 9월 기준 최대 흑자다. 29개월 연속 흑자로 2000년대 들어 두 번째 최장기간 흑자이기도 하다.

경상수지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상품수지는 142억4000만 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동월 기준 2017년(+145억2000만 달러)에 이은 2위 기록이다.
수출(672억7000만 달러)이 작년 같은 달보다 9.6% 증가했다. 8월(564억4000만 달러)보다도 63억 달러 이상 늘었다. 통관 기준으로 반도체(22.1%), 승용차(14.0%), 화학공업제품(10.4%), 기계류 정밀기기(10.3%), 무선통신기기(5.3%) 등이 전년 동월 대비 늘었다.

수입(530억2000만 달러)도 작년 같은 달보다 4.5% 늘었다. 정보통신기기(29.9%), 수송장비(24.4%), 반도체 제조장비(11.6%), 승용차(36.3%), 직접소비재(21.4%), 곡물(8.4%) 등의 수입액이 늘었다. 반면 원유(-13.3%), 석유제품(-9.8%) 등은 감소했다.

서비스수지는 33억2000만 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여행수지는 9억1000만 달러 적자로 전월(-10억7000만 달러)보다 적자 폭이 축소됐다. 운송수지는 1억2000만 달러 적자로 5개월 만에 적자 전환했다. 지식재산권사용료수지 적자 폭(-8억5000만 달러)도 8월(-6000만 달러)보다 확대됐다.

본원소득수지 흑자(+29억6000만 달러)는 8월(+20억7000만 달러)과 비교해 약 9억 달러 늘어 같은 달 기준으로 역대 2위를 기록했다. 특히 8월의 계절적 분기 배당 지급 요인이 해소되면서 배당소득수지 흑자 폭이 8월 15억8000만 달러에서 9월 23억6000만 달러로 확대됐다.

금융계정 순자산(자산-부채)은 9월 중 129억 달러 증가했다. 직접투자는 내국인의 해외 투자가 56억6000만 달러, 외국인의 국내 투자가 18억 달러 각각 늘었다.

증권투자에서는 내국인의 해외 투자가 주식을 중심으로 111억9000만 달러 늘었고, 외국인의 국내 투자는 90억8000만 달러 불었다.

한은은 올해 경상흑자 규모가 당초 전망한 흑자 규모인 1100억 달러에서 더 확대될 수 있다고 예상하고 있다. 올해 들어 9월까지 누적 경상수지 흑자(827억7000만 달러)는 지난해 같은 기간(672억3000만 달러)보다 약 23% 많다.

한은은 지난달 발간한 '경제상황 평가' 보고서에서 올해 우리나라 경상수지 흑자가 종전 전망인 1100억 달러를 넘어설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는 2015년 기록한 역대 최대치(1051억2000만 달러)를 뛰어넘는 규모다.


정성화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sh1220@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