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형소공인 성장지원 5개년 계획 수립…소공인 사회안전망 구축지원
5년간 1만개 낙후사업장 개선, 청년 고용사업장 인센티브 강화
5년간 1만개 낙후사업장 개선, 청년 고용사업장 인센티브 강화

서울시는 이를 위해 2027년까지 2만개 기업에 총 3745억원을 투자한다고 22일 밝혔다. 앞으로 5년간(2023년~2027년) 우수 숙련기술인들이 제조업에 지속적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근무환경을 조성하고, 기술경쟁력을 키우려는 것이다.
이와 관련해 서울시는 서울의 특성, 강점을 반영한 종합적인 도시형소공인 육성전략을 수립했다. 2027년까지 2만개 기업에 3745억원을 투자하여 4200억원의 매출 증가를 목표로 하는 3개 정책분야 16개 과제를 추진한다.
서울시 소공인 사업체의 수는 전체 제조업 7만6870개 중 7만2882개로 94.8%, 매출 15조원을 차지한다. 특히 전국 27만 명의 소공인 중 25%가 서울에서 근무하고 있다.
낙후된 작업환경과 화재에 노출 된 도시형소공인의 근무환경 개선을 위해 5년간 총 1만개, 전체 제조업의 25%, 서울시 제조업의 절반 규모의 사업장 근무환경을 안전하게 바꾸고, 8천개 소공인 사업장에는 화재보험과 사회보험(고용,산재보험,국민연금) 가입을 지원할 계획이다.
또 화재감지기와 누전차단기가 없어 작은 화재도 큰 불로 이어지는 작업환경 개선을 위해 1500개사에 최대 2천만 원까지 지원하고, 2027년까지 1만 개사에 최대 3천만 원까지 지원을 확대할 계획이다. 작년과 비교해 소공인의 자부담 비율은 20%에서 10%로 낮추고, 청년을 많이 고용한 사업장에는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청년 고용 실적이 높은 사업장은 5%까지 낮춰준다.
참고로 서울시는 지난 2021년~2022년 위해요인 제거 및 생산설비 개선 등 노후 작업장 1250개소를 개선하고, 시제품 1만2000개 제작 등을 지원해 537억 원의 매출 증가 성과를 거뒀다.
그리고 화재보험 가입이 어려운 소공인에는 화재보험 상품을 지원하고, 2024년부터 50인 미만 사업장도 중대재해처벌법 적용에 대비해 ‘제조현장 안전교육과정’을 개발, 현장 근무자들에게 안전관리교육을 지원해 안전사고 예방에도 역할을 할 계획이다.
또한 올해 처음 도입 ‘소공인 사회보험 가입 지원’은 앞으로 5년간 8천 개 사업장에 30억 원을 ▲고용보험 ▲산재보험 ▲국민연금을 차등 지원하는데, 최대 50%까지 보험료를 지원해 고용안정성을 높이고, 사회안전망 제도권으로의 편입을 촉진한다는 계획이다.
소규모 사업장에는▲ 대사증후군 ▲금연·절주 클리닉 ▲정신상담 등 찾아가는 건강상담실을 운영하고, 업종별 특수 건강진단(진폐증 등) 시, 사업주 부담 비용을 지원하는 등 근로자 건강관리도 지원할 방침이다.
김태균 서울시 경제정책실장은 “소공인은 제조업의 모세혈관으로 경제성장 역사의 뿌리이자 지역 산업의 기반이다. 이번 지원이 소공인 사회적 안전망을 구축하고, 제조업 현장에서 체감할 수 있는 실질적 지원이자 서울 도시제조업 재도약을 위한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노춘호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vanish1197@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