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8일 질병관리청 감염 포털에 따르면 충북에서 발생한 쯔쯔가무시 환자는 지난 2020년부터 작년까지 총 310명으로 집계됐다. 2020년 67명에서 2021년 118명, 2022년 125명으로 2년 새 86.5% 급증했다.
털진드기의 유충이 유발하는 쯔쯔가무시는 유충이 활동하는 가을철에 주로 발생하는데 지난 3년간 발생 건수의 84.5%(262건)가 10월과 11월에 집중됐다.
쯔쯔가무시는 1∼3주 정도의 잠복기를 거친 후 두통, 발열, 오한, 구토, 가피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바이러스에 감염된 쥐와 개, 소의 배설물과 접촉하면 발생하는 렙토스피라증도 대표적인 가을 감염병이다. 2020년 6건에서 2021년 14건, 지난해 16건으로 역시 증가 추세다.
잠복기는 7일∼12일로 발열과 두통, 오한, 근육통, 안구 충혈 등이 흔한 증상이다.
보건 당국은 야외 활동 시 감염병 예방을 위해 긴소매 옷을 입거나 바지를 양말 안으로 집어넣는 등 피부 노출을 최소화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홍석경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ghdtjrrud87@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