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차 도로건설·관리계획 수립 용역 3월 중 착수
개발사업 연계 도로확충과 개선해 원도심 활성화
재난대응, 구조개선 등 중점···국토교통부 협의해
내년 하반기 고시 목표···인천시 도로망 소매 걷어
개발사업 연계 도로확충과 개선해 원도심 활성화
재난대응, 구조개선 등 중점···국토교통부 협의해
내년 하반기 고시 목표···인천시 도로망 소매 걷어

인천광역시는 도로건설 및 유지·관리를 위해 제3차 도로건설·관리계획(2026~2030년) 수립 용역을 오는 3월 착수한다고 밝혔다. 이 계획은 ‘도로법’에 따라 5년마다 수립하는 인천시 도로분야 최상위 법정계획이다.
이 용역은 크게 대규모 개발사업과 연계한 도로확충 및 개선, 원도심 활성화 등을 목표로 한 건설계획과 재난대응체계 구축 및 주요 교차로 구조개선 등을 목표로 구분해 추진한다.
특히, 건설계획은 △연안부두, 월미도 접근성 제고를 위한 인천항대교(제2경인선∼월미도∼북항, L=7km) △북도면 주민 이동권 보장을 위해 장봉∼모도 연도교(L=1.8km) △상습정체구간 해소를 위한 아암대로 확장(능해IC∼송도IC, L=4.7km) △제4경인고속화도로(남항∼서울 오류동, L=18.7km) 등 15개 노선을 중점 검토할 계획이다.
이번 용역에서는 앞서 시행한 인천 도로망구축계획 연구용역을 토대로 교통현황 분석, 교통수요예측, 도로망 구축 및 정비 방안, 도로운영 및 관리체계 개선, 경제성 분석, 투자 우선순위 분석 등을 18개월간 수행한다.
인천시는 계획안이 마련되면 군·구와 인접 시도 등 관계기관 협의를 거친 후 관계 법령에 따라 최종 국토교통부 협의를 완료하고, 내년 하반기 고시할 계획이다.
김준성 인천시 교통국장은 “인천시 행정체제 개편 등에 따른 교통환경 변화에 대응하면서 GTX 노선과 연계한 도로망, 송도∼검단간 고속도로, 운연∼신천 광역도로, 부평삼거리∼장수IC간 교통혼잡도로 등 사업도 적극 발굴해 인천 중심의 도로망을 구축하겠다”라고 말했다.
최재민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cjm9907@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