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서이초 1주기 공동추모식…“교육공동체 회복과 성장 빈다”

글로벌이코노믹

서이초 1주기 공동추모식…“교육공동체 회복과 성장 빈다”

18일 서울시교육청 대강당에서…일주일간 추모 공간도 운영
서울 서이초등학교 교사의 49재 추모일인 지난해 9월 서울 서초구 서울교육대학교에서 열린 촛불문화제에서 참가자가 촛불을 들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미지 확대보기
서울 서이초등학교 교사의 49재 추모일인 지난해 9월 서울 서초구 서울교육대학교에서 열린 촛불문화제에서 참가자가 촛불을 들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서이초 사건 1주기를 맞이해 공동추모식이 열린다.

서울시교육청은 오는 18일 대강당에서 초청 내빈 약 200명이 자리하는 시교육청·교원단체·교사유가족협회 공동추모식을 연다고 14일 밝혔다.

추모식에서는 고인의 넋을 기리는 시간을 가지고 교원·학생·학부모 등 교육 3주체의 공동선언을 한다.

아울러 시교육청은 오는 15일~20일 보건안전진흥원 옆 공간에 추모 공간을 마련해 운영한다. 이 장소는 고인을 추모하고 애도하는 사람 모두를 대상으로 개방된다.
시교육청 교육활동보호센터는 오는 9월까지 교원의 심리적 외상 등에 대비한 트라우마 집중 치유 기간을 운영한다.

특히 서이초는 이달 18일 트라우마 전문가 2명과 교육활동보호센터 전문상담사 2명이 학교를 상주마혀 교직원 집중 상담을 시행한다.

조희연 서울시교육감은 “선생님의 헌신을 기억하고 유가족과 교육공동체의 슬픔을 위로하는 시간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앞서 시교육청은 지난해 9월 교육활동보호 종합대책을 등을 마련했다. 교원안심공제 지원 확대, 교육활동보호 긴급지원팀 ‘SEM119’(상담-지원-중재-사후관리) 운영 강화, 법률 3중 지원 체계구축 등을 통해 현장을 지원해왔다.

다만 시교육청 관계자는 “무고성 아동학대 신고와 교육활동 침해 행위 등 현장의 어려움은 여전히 남아있다”며 “특히 모호한 정서적 학대 조항에 근거한 무고성 아동학대 신고는 교육활동을 크게 위축시키므로, 아동복지법 개정 등 제도 개선에도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민지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mj@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