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지난해 국내 총인구 5177만명…외국인 늘며 3년만에 8.2만명↑

글로벌이코노믹

지난해 국내 총인구 5177만명…외국인 늘며 3년만에 8.2만명↑

통계청, ‘2023년 인구주택총조사(전수)’ 결과 발표
5명중 1명은 노인, 초고령사회 눈 앞
15~64세 생산연령인구 전체의 70.6%…1인 가구 35.5%
자료=통계청, 그래픽=뉴시스이미지 확대보기
자료=통계청, 그래픽=뉴시스
지난해 우리나라 총인구가 8만명가량 늘면서 3년 만에 증가세로 전환했다. 또 65세 이상 인구 비중은 전체의 18.6%를 차지해 초고령사회(20%)를 눈 앞에 두고 있다.

통계청이 29일 발표한 ‘2023년 인구주택총조사 결과(등록센서스 방식)’에 따르면 지난해 총인구는 5177만5000명으로 전년보다 8만2000명(0.2%) 증가했다.

2021년 이후 2년 연속 감소했다가 3년 만에 증가세로 전환한 것이다.지난 2021년과 2022년에는 전년 대비 총인구가 9만1000명, 4만 6000명 각각 감소했다.

지난해 인구를 국적별로 보면 내국인이 4983만9000명으로 1년 전보다 10만1000명(0.2%) 감소했으나, 외국인(193만 5000명)이 18만 3000명(10.4%) 늘어 전체 인구 증가를 견인했다.
지난해 외국인을 포함한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전체 인구의 18.6%인 961만명을 기록해 초고령사회를 눈 앞에 두고 있다. 65세 이상 인구가 전체 인구의 20% 이상을 초고령사회라고 한다. 65세 이상 고령 인구는 46만2000명(5.1%) 증가했다.

반면 유소년인구(0~14세)와 생산연령인구(15~64세)는 감소했다. 유소년 인구는 24만1000명 줄어든 561만9000명으로 집계됐다. 생산연령인구는 3654만6000명(70.6%)으로 전년보다 14만명 줄었다.

지난해 총가구는 2272만8000가구로 전년보다 34만5000가구(1.5%) 증가했다. 일반 가구가 2207만3000가구로 전체 가구의 97.1%를 차지했고, 집단·외국인 가구(65만 5000가구)는 2.9%였다.

일반 가구를 가구원수별로 보면 1인 가구가 782만 9000가구(35.5%)로 가장 많았고, 이어 2인(634만 6000가구·28.8%), 3인(419만 5000가구·19.0%), 4인(292만 6000가구·13.3%), 5인 이상(77만 7000가구·3.5%) 등 순이었다.

김서영 통계청 인구총조사과장은 “추세적으로는 고령인구가 인구적으로, 규모적으로도 늘고 있고 비중적으로도 늘고 있다”며 “또 1인 가구도 규모적으로도 늘고 있고, 비중적으로 계속 늘고 있다는 것이 우리나라 인구구조가 가지고 있는 현시점에서의 모습들”이라고 설명했다.


지원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wsedu@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