활용도가 낮은 공간을 스마트팜으로 재구성
농업 체험과 다양한 커뮤니티 촬동 참여
농업 체험과 다양한 커뮤니티 촬동 참여

8일 도에 따르면, 도는 도심형과 체류형 농촌형 두 가지 유형으로 구성된 이번 사업의 사업수행자로 농업법인 팜팜과 원에이커팜을 각각 선정했다고 밝혔다.
이번 사업은 지역 유휴공간을 활용해 스마트팜을 조성하고, 농업혁신과 도시재생을 동시에 이끌어내는 것이 목적이다.
도심형 스마트팜을 수행하게 될 농업법인 팜팜은 고양시 백석지하보도를 스마트팜 복합문화공간으로 전환할 계획이다. 딸기 사계절 재배기술을 기반으로, 스마트팜 외에도 체험 교육장, 카페 등 복합공간으로 탈바꿈시킬 예정이다.
팜팜은 이미 김포시에서 도넛형 스마트팜과 카페를 운영, 엽채류 생산과 체험교육 등으로 연매출 1억8000만 원을 기록한 바 있다.
체류형 농촌 스마트팜은 농업법인 원에이커팜이 용인시 폐공장 기숙사를 리모델링해 조성한다. 근교 주민들이 직접 농업을 체험하고, 커뮤니티 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교육·체험·소통 중심의 공간으로 개발할 계획이다.
원에이커팜은 3년 전부터 스마트팜을 활용한 고품질 엽채류 및 허브 생산으로 연 매출 10억9000만 원을 달성했으며, 올해도 20% 이상의 성장이 예상되는 유망 기업이다.
이번 사업은 활용도가 낮은 공간을 스마트팜으로 재구성해 지역경제 활성화, 환경보호, 공동체 회복 등 사회적 가치를 실현하는 모델로 평가된다.
박종민 경기도 농수산생명과학국장은 “사회혁신형 스마트팜은 도시와 농촌이 안고 있는 다양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미래형 대안 산업”이라며 “지역사회와의 연계를 통해 지속 가능한 농업 생태계로 확산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지은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dlwldms799@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