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 공익성 심의 통과…민선 8기 핵심 공약 가시화

2009년 지정 후 2011년 취소된 전력이 있어 재지정이 쉽지 않다는 평가 속에 민선 8기가 들어서면서 적극적인 추진에 나선 결과로 성과를 내고 있다는 분석이다.
7일 시에 따르면 세교3지구는 오산시 서동 일원 431만㎡ 부지에 약 3만 1천 호, 약 9만여 명 수용이 가능한 대규모 주거지를 조성하는 사업이다. 2023년 9월 국토부의 ‘중장기 주택공급 활성화 방안’에 따라 신규 공급대상지로 선정되며 재추진의 전기를 마련했고, 이번 중토위 공익성 심의 통과로 지구 지정까지의 절차 중 사실상 8부 능선을 넘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권재 오산시장은 민선 8기 출범 초기부터 세교3지구 지정을 핵심 공약으로 내세우고 직접 국토부와 LH를 수차례 방문하는 등 적극적인 행보를 이어왔다.
사업 추진 과정에서 시는 광역교통대책과 도시 인프라 확보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이 시장은 △경부선철도 횡단도로 사업 재추진 및 착공(2024년 12월 예정, LH 분담금 538억 원 확보) △동부대로 오산시청 지하차도 완전 개통(2023년 11월) △서부우회도로 오산구간 조기 개통(2023년 10월) 등의 성과를 이끌어냈다.
또한 △오산IC 상공형 입체화 △운암뜰 하이패스IC 신설 △천일사거리 및 원동~한전사거리 구간 지하화 △남사진위IC 연결도로 신설 △반도체고속도로 IC 신설 등 주요 교통망 개선안도 광역교통개선대책에 포함될 수 있도록 정부에 요청한 상태다.
이와 함께 이 시장은 세교3지구 내에 약 30만 평 규모의 테크노밸리를 조성해 판교테크노밸리 수준의 첨단산업 거점으로 육성할 수 있도록 LH에 지속 협조를 요청하고 있으며, 인구 증가에 따른 하수처리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통합하수처리장의 조기 시공 필요성도 건의 중이다. 원주민을 위한 합리적 보상 방안 마련도 병행해 추진되고 있다.
시는 세교3지구 조성이 완료될 경우 화성·용인·평택 일대 반도체 산업 벨트와 연계한 자족기능 강화는 물론, 인구 50만 규모의 수도권 남부 중심 도시로 도약할 수 있는 핵심 기점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세교3지구는 민선 8기의 핵심 과업이자 시민들의 오랜 숙원”이라며 “신속한 지구 지정이 이뤄질 수 있도록 실무 차원의 협의도 지속하겠다”고 밝혔다.
이지은 이지수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dlwltn311@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