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수출 중소기업 보호와 통상환경 변화 선제 대응

도는 △관세 리스크 긴급 대응 △수출 경제영토 확장 △수출기업 글로벌 경쟁력 제고 등을 핵심으로 하는 수출지원 대책을 마련했다고 9일 밝혔다.
관세 리스크 긴급 대응
도는 급변하는 통상환경 속 피해 최소화를 위해 총 76억 원을 투입한다. 이 중 70억 원은 자동차, 의약품, 반도체, 철강, 알루미늄 등 미국 관세정책 영향을 직접 받는 공급망 기반 중소기업 900개사를 대상으로 수출 컨설팅, 해외 전시회 참가, 해외 규격 인증, 물류비 등 단계별 맞춤형 지원을 제공하는 '무역위기 대응 패키지 사업'에 쓰인다.
이와 함께 4억5,900만 원은 FTA통상지원사업으로 편성돼 통상환경 조사단 파견과 비관세장벽 대응에 사용된다. 상반기 미국에 자동차부품 통상조사단을 파견한 데 이어, 하반기에는 전기전자 및 반도체 분야 조사단도 파견할 예정이다.
또한, 미국 진출을 희망하는 화장품 기업을 대상으로 필수 인증 비용도 지원한다.
수출 경제영토 확장
도는 미국과 중국, 베트남, 인도 등 주요국의 유통망 진출을 지원하기 위해 총 10억 원을 투입, 100개 기업의 온·오프라인 진출을 돕는다.
아울러 일본과 중동 지역을 대상으로 통상촉진단을 2회 추가 파견하고, G-FAIR KOREA(대한민국우수상품전시회) 해외 바이어 초청 규모도 200명 이상으로 확대한다.
이를 통해 도내 기업의 글로벌 상담 기회를 확대하고, 실질적 수출 계약 성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수출기업 경쟁력 제고
글로벌 진출 지속성과 경쟁력 강화를 위한 예산도 마련됐다. 도는 9억 원을 들여 해외규격 인증 획득(5억200만 원), 물류비 지원(3억8,200만 원)에 투자해 도내 수출기업들이 비관세장벽을 극복하고 안정적으로 해외시장에 진출할 수 있도록 돕는다.
경기비즈니스센터(GBC) 확대
수출기업의 해외 현지 진출을 밀착 지원하는 경기비즈니스센터(GBC)도 확대된다.
8월에는 미국 댈러스 GBC가 개소 예정이며, 하반기 중 호주와 대만에 각각 1개소씩 추가 개설된다. 이로써 GBC는 총 21개국, 27개소 체제로 운영된다.
도는 GBC 네트워크 확장을 통해 단순 수출을 넘어 현지 맞춤형 전략 수립과 자생적 진출 역량 강화 등 실질적 기반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박근균 경기도 국제협력국장은 “2025년 하반기는 미국 관세정책 향방을 가늠할 중요한 분기점”이라며 “도는 단기 처방에 그치지 않고 정밀하고 지속 가능한 수출지원 체계를 구축해 도내 중소기업들이 글로벌 통상 불확실성 속에서도 성장 잠재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이지은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dlwldms799@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