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경기도교육청, 서울·인천과 고교학점제 개선·AI 디지털교과서 현장 지원 논의

글로벌이코노믹

경기도교육청, 서울·인천과 고교학점제 개선·AI 디지털교과서 현장 지원 논의

임태희 경기도교육감이 정근식 서울시교육감, 도성훈 인천시교육감과 만나 수도권 교육 현안을 논의하고 있다. 사진=경기도교육청이미지 확대보기
임태희 경기도교육감이 정근식 서울시교육감, 도성훈 인천시교육감과 만나 수도권 교육 현안을 논의하고 있다. 사진=경기도교육청
임태희 경기도교육감이 정근식 서울시교육감, 도성훈 인천시교육감과 만나 고교학점제 개선과 인공지능디지털교과서(AIDT) 전환에 따른 현장 지원 방안 등 수도권 교육 현안을 집중 논의했다.

26일 성남시에서 열린 '2025년 제5회 수도권교육감 간담회'는 △고교학점제 현장 지원 강화(공통) △AIDT 교육자료 전환에 따른 현장 지원(경기) △학생 자살 예방을 위한 협력 사업(서울) 등이 주요 안건으로 다뤄졌다.

먼저 이들은 고교학점제와 관련해 학생들의 선택권 보장과 최소성취수준 지도 강화를 위해 교원 정원의 안정적 확보가 전제돼야 한다는 점에 뜻을 모았다.

또 공통과목 학점 이수 기준은 출석률과 학업성취율을 함께 적용해야 하며, 미도달 학생 지도를 위한 예산과 인력 지원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이와 함께 국가교육위원회와 시도교육감협의회가 고교학점제 및 대입제도 개편 논의를 위한 중기 구조를 마련해야 한다는 데 합의했다.
임태희 교육감은 이 자리에서 졸업인정 학점 조정 필요성에 대한 추가 의견도 제시했다.

두 번째로는 인공지능디지털교과서(AIDT) 교육자료 전환과 관련해 계약 문제 해결을 신속히 추진해 학교 현장의 혼란을 최소화해야 한다고 의견을 모았다.

아울러 시도교육청별 교수학습플랫폼과 AIDT 자료, 디지털콘텐츠를 연계해 안정적인 활용 구조를 만들어야 한다는 데에도 공감했다.

세 번째로 학생 자살 문제의 심각성을 공유하며, 심리상담 지원과 캠페인 등 마음건강 증진을 위한 공동 논의와 협력을 추진하기로 했다.

간담회에 참석한 교육감들은 “수도권 교육청이 교육개혁의 중심축 역할을 담당해 학생들이 더 안전하고 행복하게 성장할 수 있는 교육환경을 만들 수 있도록 협력하자”고 입을 모았다.


이지은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dlwldms799@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