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이슈] 2014년 글로벌 자동차 기상도
[글로벌이코노믹=윤선희 기자] 독일의 국민차로 불리는 폭스바겐(Volkswagen)은 1937년 설립된 이후 아직도 국민들로부터 사랑을 받고 있다. 아돌프 히틀러는 1930년대 초반까지만 하더라도 부자들만 탈 수 있는 고급차량만 제조되는 현실을 개탄해 모든 국민들이 탈 수 있는 저렴한 자동차의 생산을 원했고, 폭스바겐은 비틀(딱정벌레)을 만들었다. 저렴하고 실용적인 자동차를 77년 동안 생산한 폭스바겐이 2014년에는 글로벌 1위 자동차 기업으로 등극할 가능성이 높다. 최근에는 미국의 크라이슬러 인수로 메이저 업체로 부상한 이탈리아 피아트와 인수합병 협상을 하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을 정도로 폭스바겐의 질주는 거침이 없다.
2014년 상반기 폭스바겐 브랜드만으로는 사상 처음으로 300만대를 돌파했지만, 만(Mann)과 스카니아(Scania) 등 트럭부문을 제외한 폭스바겐 AG의 모든 브랜드를 포함할 경우 497만 대를 판매해 510만 대의 판매량을 자랑하는 1위 도요타자동차(이하 도요타)를 바짝 추격하고 있다. 트럭부문까지 포함할 경우에는 도요타의 판매량에 거의 근접한다. 미국 제너럴 모터스(General Motors, 이하 GM)는 492만 대의 자동차와 트럭을 판매해 3위를 기록했다.
폭스바겐은 2014년 상반기 판매가 5.9% 증가했지만, GM의 글로벌 판매는 1.4% 상승에 그쳤다. 폭스바겐은 미국에서의 판매가 7% 하락했음에도 불구하고, 미국을 제외한 유럽, 아시아, 남미 등 다른 지역에서 선전한 덕분에 GM을 꺾고 글로벌 판매 2위를 차지할 수 있었다. 폭스바겐의 올 상반기 유럽 판매량은 7% 증가했고, 단일 시장으로는 최대 시장인 중국을 포함한 아시아‧태평양에서는 16% 늘어났다.
고질적인 품질문제를 해소하지 못하는 이상 GM이 다시 폭스바겐을 뛰어넘는 실적을 내기란 어려울 것으로 판단된다. 미국 정부가 GM을 정책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안전이나 품질 등을 이슈로 삼고 있지만 정작 피해를 입고 있는 업체들은 한국과 일본 업체들이고 폭스바겐은 예외다. 정부의 지원에도 불구하고 미국에서조차 폭스바겐의 성장을 막기는 어렵다. 미국 정부의 영향력이 없는 중국이나 유럽 등지에서 폭스바겐의 성장세가 두드러지기 때문에 GM에게 추월당할 가능성은 낮다.
올해 상반기 도요타는 510만 대를 판매해 세계 1위의 자리에 올랐다. 폭스바겐과 GM은 각각 497만 대와 492만 대로 그 뒤를 바짝 추격하고 있다. 올해 상반기 판매량에서 도요타가 1위를 차지한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한 가지 주의할 점은 폭스바겐의 상반기 판매 대수에 대형 트럭이 포함되지 않았다는 점이다. 국제 분석기관의 통계자료에 의하면 폭스바겐 산하의 맨이나 스카니아의 상반기 판매량은 약 10만 대에 달한다. 즉, 트럭 판매량을 포함할 경우 폭스바겐의 상반기 판매 대수는 507만 대로 도요타와는 크게 차이가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올해 상반기 도요타의 글로벌 판매 대수는 지난해 동기 대비 3.8%가 증가했다. 반면 폭스바겐은 5.9%의 성장률을 기록했다. 특히 2분기(4~6월) 폭스바겐의 생산대수(맨과 스카니아의 두 브랜드 차량 제외)는 약 257만 대로 도요타의 251만 대를 제쳤다. 폭스바겐의 글로벌 성장 속도가 이미 도요타를 넘어섰다고 볼 수 있다. 자동차시장 조사업체인 HIS오토모티브는 상반기 글로벌 시장에서 폭스바겐의 성과는 눈부시며 폭스바겐의 판매량이 증가한 것은 주로 미국 시장의 호황에 기인했다고 주장했다. 미국 경제가 호전됨에 따라, 소비자의 자동차 구매성향이 전통적인 승용차에서 트럭과 SUV로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점이 폭스바겐에 유리하게 작용한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