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초점] 美, 코로나로 50만명 퇴직 후 은퇴…일할 사람 없다

공유
0

[초점] 美, 코로나로 50만명 퇴직 후 은퇴…일할 사람 없다

브루킹스연구소 "코로나 장기화 등으로 공백 생긴 일자리 1000만여개"

코로나에 걸려 실직 중인 미국 직장인. 사진=브루킹스연구소이미지 확대보기
코로나에 걸려 실직 중인 미국 직장인. 사진=브루킹스연구소

현재도 이어지고 있는 미국의 역대급 구인대란이 2년여 전 터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코로나19) 사태로 촉발된 것으로 분석됐다.

미국의 경제상황을 공식적으로 판단하는 비영리 민간 연구기관인 전미경제연구소(NBER)가 코로나19 사태가 미국 고용시장에 미친 영향을 실증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조사한 내용을 담아 최근 펴낸 보고서의 골자다.

고용시장 경색으로 인한 구인대란이 아직도 미국 경제를 감싸고 있는 불확실성 가운데 하나로 지적되고 있는 가운데 코로나19에 걸린 직장인들이 고용시장에서 대규모로 빠져나가는 바람에 노동인구의 수급 불안을 촉발시킨 것으로 분석됐다는 얘기다.

◇NBER "코로나 걸려 고용시장서 퇴출된 직장인 50만명"


코로나19 사태가 미국 고용시장에 미친 영향과 관련해 전미경제연구소(NBER)가 최근 발표한 조사보고서. 사진=NBER이미지 확대보기
코로나19 사태가 미국 고용시장에 미친 영향과 관련해 전미경제연구소(NBER)가 최근 발표한 조사보고서. 사진=NBER


12일(현지시간) 비즈니스인사이더 등 외신에 따르면 미 인구조사국 통계를 기반으로 분석이 이뤄진 이번 NBER 보고서의 결론은 코로나에 감염되는 바람에 생업을 중단했거나 아예 은퇴의 길로 들어선 미국 직장인이 약 50만명에 달한 것으로 확인됐다는 것.

코로나가 아니었으면 멀쩡히 직장생활을 지속했을 미국인이 이 정도나 됐을뿐 아니라 이들이 아예 노동시장에서 빠져나가는 결과로 이어짐으로써 미국의 고용인구가 나중에 회복하기 어려울 정도로 크게 쪼그라들었다는 뜻이다.

보고서는 “코로나에 걸려 일주일 이상 결근한 직장인들과 그렇지 않은 직장인들을 추적해 비교분석한 결과 1년 뒤에 코로나에 걸려 일을 하지 못했던 직장인들이 노동시장에서 아예 사라진 비율이 7% 정도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고 설명했다.
보고서가 주목한 대목은 이들 가운데 상당수가, 특히 65세 이상의 근로자들이 직장이나 생업 현장으로 복귀하지 않고 아예 은퇴하는 방향으로 움직인 것으로 나타난 점이다.

보고서는 “코로나에 걸려 고용시장에서 잠시 빠져나왔던 65세에서 85세 사이의 근로자 5명 가운데 한명꼴로 1년 뒤 완전히 노동시장에서 배제된 것으로 나타났다”면서 “나이든 직장인 가운데 상당수가 코로나에 걸리는 바람에 고용시장에서 퇴출된 셈”이라고 밝혔다.

◇구인대란 여전히 지속되는 이유

코로나 사태의 장기화 등으로 미국 고용시장에서 채워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 추산되는 일자리 규모(노란색). 사진=브루킹스연구소이미지 확대보기
코로나 사태의 장기화 등으로 미국 고용시장에서 채워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 추산되는 일자리 규모(노란색). 사진=브루킹스연구소


비즈니스인사이더는 “코로나발 구인대란은 단순히 지나간 일이 아니라는 사실이 이번 조사에서 확인됐다”면서 “코로나에 걸린 직장인들이 고용시장에서 대거 밀려나면서 촉발된 미국의 구인대란은 현재진행형”이라고 지적했다.

비즈니스인사이더는 미 노동부 산하 노동통계국에 따르면 지난날 기준 미국의 노동시장 참여율은 62.4%로 코로나 사태가 터지기 직전인 지난 2020년 2월보다 여전히 1%포인트 낮은 수준이라며 이같이 전했다.

아울러 구인대란이 좀처럼 해소되기 어려운 배경에는 ‘코로나 감염의 장기화’ 경향이 자리잡고 있다.

실제로 헤리티지재단과 함께 미국의 양대 싱크탱크로 꼽히는 브루킹스연구소가 지난 1월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수개월 또는 1년 이상 코로나에 걸린 정규직 근로자 가운데 110만명 정도가 일자리를 잃은 것을 계기로 고용시장에서 퇴출된 것으로 추산했다.

브루킹스연구소는 “비정규직 근로자 가운데 여기에 해당하는 사람도 50만명에 달한 것으로 추산됐다”면서 “이들이 노동시장에서 사라진 것 등에 여파로 1000만개 이상의 일자리가 채워지지 못한채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