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3년 동안 코로나19 방역 규제로 국경을 폐쇄한 홍콩은 국경 재개를 통해 경제를 회복시킬 계획이다.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식당·호텔·관광업 등의 근로자 근무시간은 단축됐고, 임금이 줄었거나 해고됐다.
지난해 4월 홍콩의 전체적인 실업률이 5.4%에 달했고, 이는 1년 만에 최고 수준이었다. 최근 홍콩의 실업률이 여전히 2018년보다 높지만, 상승률이 둔화했다.
식당과 매장은 근로자를 고용하고 있으나 근로자들은 변동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산업으로 이직하거나 홍콩에서 떠났기 때문에 근로자 고용도 어려워졌다.
한 경제학자는 “식당과 매장 등은 단기적인 고용 도전을 이겨냈어도 장기적인 전망은 엄중하다”고 경고했다.
옥스퍼드 이코노믹스의 로이드 찬은 “현지 노동력 감소, 노동력 수입 정책과 현지 근로자 교육 등 구조적 요인이 작용하고 있다”며 “국경이 개방된 상태에서 이러한 문제는 빠른 시일 내에 해결되지 못할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해 럭셔리 호텔에서 부동산 관리회사로 이직한 한 여성은 “서비스업으로 돌아가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복지, 임금과 근무시간은 호텔 산업보다 훨씬 좋다”고 덧붙였다.
홍콩의 호텔산업연합회의 위니 찬은 “일자리 보장에 대한 우려는 전 호텔 산업 직원들이 직면하는 문제”라며 “그들은 호텔 산업보다 훨씬 안정적인 산업으로 이직했다”고 전했다.
채용 광고회사 무브업(Moovup)은 “10월 홍콩의 채용 정보는 45만 개를 넘었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해 3월보다 2배 높은 숫자다.
무브업 공동창업자 겸 최고경영자(CEO)는 “코로나19 초기와 달리 지금의 일자리 선택지가 많아졌기 때문에 근로자들의 임금 협상 능력이 높다”고 말했다.
무브업의 데이터에 따르면 지난해 12월의 근로자 최저임금은 1만5000홍콩달러(약 236만8800원)로 지난해 초보다 7.1% 높았다.
계속 높아진 인건비는 고용주의 이익률에 더 큰 피해를 줄 것이다.
양지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tvxqhae@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