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중국, 3월 수출 반등에도 불구 공급망 재배치 시사

글로벌이코노믹

중국, 3월 수출 반등에도 불구 공급망 재배치 시사

중국이 공급망 재 배치를 시사해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이미지 확대보기
중국이 공급망 재 배치를 시사해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지난 3월 전체 수출이 놀라울 정도로 급증했음에도 불구하고, 중국 세관 자료에 따르면 1분기 외국인 투자 기업의 수출이 감소했다. 이에 따라 중국에서 공급 체인 이전이 가속화될 수 있다.

홍콩의 사우스차이나 모닝포스트(SCMP)는 22일 1분기 외국 제조업체의 수출이 작년 같은 기간에 비해 16.3%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보도했다.

이러한 감소는 대부분 원자재의 전부 또는 일부를 수입하고 국내 기업이 가공 또는 조립한 후 완제품을 다시 수출하는 이른바 가공 무역의 출하 감소로 인한 것이다.

이 범주에 속하는 주요 수출품으로는 스마트폰, 컴퓨터 및 집적 회로가 포함되며, 전체 수출액이 1분기 0.5%, 3월 14.8% 증가한 것과 대조적으로 3월에는 모두 감소를 계속했다. 이는 전 세계 수요 감소로 인해 감소폭이 더욱 커졌기 때문이기도 하다.

지난 18일 발표된 자료에 따르면 3월 스마트폰 수출액은 1년 전에 비해 31.9% 줄어든 8조 4800억 달러로 19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관세 수치에 따르면 중국 스마트폰 수출의 약 80%가 가공 무역에 속한다. 무역 수출을 처리하는 주요 업체는 대만의 다국적 전자업체인 폭스콘이다. 폭스콘은 애플의 최종 제품 조립을 위해 대부분의 공장을 중국에 두고 있다.

그러나 폭스콘은 특히 지난해 중부 허난성에 있는 최대 아이폰 공장의 코로나 19로 인한 봉쇄가 장기화된 이후 인도를 포함한 국가들의 다각화에 점점 더 관심을 나타내고 있다.

컴퓨터 수출액도 3월에 전년 동기 대비 25.9% 감소한 후 8개월 연속 줄어들었다. 이는 대부분 전체 출하량의 60% 이상을 차지하는 가공 무역의 급감에 따른 것이다.

하지만 집적회로 수출액의 마이너스 성장은 3월에 전년 동기 대비 2.2% 감소한 후 줄어들었고, 중국의 첨단 칩 생산 능력을 약화시키려는 미국의 노력이 강화되는 가운데 9개월 연속 감소를 기록했다.

대만 반도체 제조회사,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주요 칩 제조업체들은 모두 중국에 제조 기지를 두고 있다. 저렴한 토지와 노동력의 이점과 완벽한 인프라 네트워크를 갖춘 중국은 지난 40년 동안 많은 외국 브랜드의 주요 글로벌 제조 기지로 선택되었다.

하지만 인건비 상승과 중국과 미국 간 지정학적 긴장이 고조되는 가운데 추세가 점차 반전되고 있으며, 중국의 제로 코로나 정책 3년 동안 공급망 붕괴로 인해 더욱 악화되었다.

많은 다국적 기업들이 동남아시아를 포함한 다른 지역으로 투자를 다각화함으로써 탈 중국 전략 구축을 가속화했다.

한편 지난 달 중국의 최대 무역 파트너인 동남아시아 국가 연합(아세안)에 대한 중국의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35.43% 급증했다. 그러나 대미 수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7.68% 감소해 8개월 연속 감소세를 보였다.


이수미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texan509@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