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본 정부는 챗 GPT과 같은 인공지능 도구를 활용해 행정 업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동시에 기본 규칙을 정하는 전략을 수립하기 위한 팀을 구성했다.
이 팀은 24일 관련 부처와 기관의 대표들을 포함한 첫 회의를 열었다. 회원들은 생성적 인공지능이 민감한 정보에 접근할 수 없으며 사생활 침해와 같은 다른 위험에 대해 예방 조치를 취할 것이라는 데 동의했다.
이른바 생성적 AI는 국회 청문회에 앞서 답변을 작성하거나 기자회견에서 질문을 예상하는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도움을 주기 위해 주목받고 있다.
무라이 히데키 총리 특별보좌관 겸 전략팀장은 "이제 AI는 새로운 국면에 접어들었다"라고 말했다.
무라이 팀장은 일본이 위험과 국제적 맥락에 대한 인식을 유지하면서 정부에서 인공지능을 사용하는 것을 추진하려고 한다고 밝혔다.
이날 회의에는 경제 산업성, 총무성, 정부의 디지털 사무 및 개인 정보 보호 기관들이 참여했다.
일부 정부 기관은 생성 인공지능의 사용을 독립적으로 탐구해 왔다. 농림수산성은 특정 서비스에 대한 신청서 작성에 대한 온라인 지침을 업데이트하기 위해 챗 tGPT를 사용할 계획이다. 총무성은 곧 효율적인 업무를 위해 생성 인공지능을 사용하여 시범 운영할 예정이다.
니시무라 야스토시 경제 통상 산업성 장관은 지난 주말 "미래에는 AI가 프로세스를 더 효율적으로 만드는 데 도움이 되는 강력한 도구가 될 수 있다" 라고 기자들에게 말했다.
한편 생성적 인공지능의 등장으로 사생활과 지적 재산권 보호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일부 일본 관리들은 개인 및 기업 데이터에 챗 GPT를 사용하는 것에 대해 신중한 견해를 보였다.
스즈키 나오미치 홋카이도 지사는 자신의 지방 정부가 생성 AI를 사용할 계획이 없으며 "이를 조심스럽게 처리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반면 미국과 중국은 인공지능 소프트웨어의 선두주자로 부상하고 있다. 챗 GPT의 뒤를 잇는 마이크로소프트의 지원을 받는 OpenAI들과 함께 구글, 바이두, 알리바바 그룹 홀딩은 그들만의 경쟁 도구를 만들어 가는 중이다.
이수미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texan509@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