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실 "논의 안했다"…러시아 반발 의식

대통령실의 한 고위 관계자는 우크라이나 문제에 대해 "소인수 회담이 꽤 길었지만 아주 짧게 언급됐다"고 말했다. 그는 "그동안 정부가 공식적으로 견지해온 원칙과 입장에서 변화가 없었다"며 "그것은 우크라이나 전황을 살피면서 인도적 지원, 재정적 기여, 비군사적 목적의 지원을 늘려가고 있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재건 논의에도 관심이 있어서 미국과 협력하면서 적극 응하겠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윤 대통령과 바이든 대통령은 회담 후 발표한 공동성명에서 러시아의 침략을 규탄하며 우크라이나에 대한 지원 의지를 피력했다. 공동성명에서는 "양 정상이 러시아의 행위를 가장 강력한 언어로 규탄했으며 제재 및 수출통제 조치를 통해 책임을 물었다"고 했다. 두 정상은 우크라이나 재건을 포함해 정치, 안보, 인도, 경제 지원 제공 의사를 밝혔다.
백악관의 한 고위 관계자는 전날 한·미 정상회담 관련 브리핑에서 “윤 대통령과 바이든 대통령은 이번 회담에서 우크라이나 문제를 논의할 것”이라며 “한국의 우크라이나에 대한 지원의 다음 단계에 대해 실질적인 논의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고위 관계자는 “침략당한 나라를 위해 국제 사회가 힘을 모아야 한다는 중요성을 한국보다 잘 아는 나라는 없다”며 한국의 추가 지원을 압박했다.
윤 대통령도 전날 미국 NBC와 인터뷰에서 우크라이나 살상 무기 지원 가능성을 묻자 “우크라이나에 살상 무기를 공급해야 할 때가 오고 최전선의 상황이 달라진다면 한국이 국제 사회의 공동 노력을 외면하는 상황은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윤 대통령은 지난 19일 로이터통신과의 인터뷰에서 처음으로 우크라이나에 대한 조건부 무기 지원 가능성을 시사했다. 윤 대통령은 당시 “만약에 민간인에 대한 대규모 공격이라든지, 국제 사회에서 도저히 묵과할 수 없는 대량 학살이라든지, 전쟁법을 중대하게 위반하는 사안이 발생할 때는 인도적 지원이나 재정적 지원에 머물러 이것만을 고집하기 어려울 수 있다”고 말했다.
러시아는 “우크라이나에 대한 무기 공급은 전쟁 개입”이라며 북한에 첨단 무기를 지원할 수 있다”고 경고하면서 강력히 반발했다.
국기연 글로벌이코노믹 워싱턴 특파원 ku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