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미국인의 순자산, 코로나19 팬데믹에도 3년간 37% 늘어

글로벌이코노믹

미국인의 순자산, 코로나19 팬데믹에도 3년간 37% 늘어

미국인의 순자산이 코로나19 팬데믹에도 불구하고 최근 3년간 37%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료=글로벌이코노믹이미지 확대보기
미국인의 순자산이 코로나19 팬데믹에도 불구하고 최근 3년간 37%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료=글로벌이코노믹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가 18일(현지시간) 발표한 데이터에 따르면 미국인의 순자산은 2019년부터 2022년까지 역사적인 속도로 증가했으며, 이는 팬데믹 시대의 엄청난 경제 변동과 주택 소유 및 금융 자산에서 창출된 부를 반영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가정의 소득, 순자산, 신용 사용, 부채 및 기타 재무 결과를 종합적으로 측정하기 위해 1989년부터 3년마다 실시되고 있는 FRB의 최신 소비자 금융 설문조사에 따르면 실질 또는 인플레이션 조정 중간 순자산은 팬데믹 이전인 2019년 대비 2022년에 37% 증가했다.

FRB 보고서는 과거를 거슬러 올라가지만, 미국 경제 성장을 촉진하고 경기침체 예측을 불식시킨 지속적인 회복력의 이면에 있는 재정적 토대를 설명하고 있다.

주택 소유자들은 주택 자산을 활용해 현금을 조달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설문 조사 결과는 소득 불평등이 확대되고 주택 가격이 상승하여 이전에 발표된 경제 데이터와 미국인의 생활 경험을 뒷받침한다는 점을 확인시켜 주었다.
또한 연준 연구원들은 이번 설문 조사를 통해 아시아계 미국인에 대한 데이터를 처음으로 공개하는 등 인종 및 민족 집단의 재정과 가족의 팬데믹 경험에 대해 더 깊이 연구할 수 있었다.

흑인 가정의 중위 순자산은 2019년 대비 60% 증가하여 가장 큰 폭으로 증가했지만, 2022년 수준은 여전히 다른 모든 인종 또는 민족 그룹 중 가장 낮았으며 소득도 감소했다.

백인과 비(非)히스패닉계 응답자의 소득은 같은 기간 1% 증가한 반면, 흑인과 히스패닉/라틴계 응답자의 소득은 각각 2%와 1% 감소했다. 또한 주택 소유자와 대도시 지역에 거주하는 응답자의 소득이 더 높았다.

연준 연구원들은 순자산이 2019년 대비 37% 증가한 것은 역사상 두 번째로 큰 상승폭의 두 배 이상이며, 이는 주로 자산 성장, 특히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크게 상회한 주택 가치와 주식 시장 상승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했다. 2019년부터 2022년까지 주택 보유율은 3년 전 64.9%에서 66.1%로 증가했지만, 순주택 중간값은 45%나 급증했다.

3년 전, 미국 역사상 가장 큰 경제 확장이 막바지에 이르렀을 때 순주택 가치는 13% 증가했다. 뉴욕 연준 연구원들은 이전에 "모기지 재융자 붐" 기간 동안 수백만 가구가 4,300억 달러를 회수한 것으로 추정했다.

FRB 보고서는 팬데믹 관련 이주 패턴이 주택 가치를 높이고 도시와 농촌의 소득 격차를 줄이는 데 기여했다고 지적했다. 주택 가격의 호황은 모든 소득 수준에서 경험되었지만, 재정적 이득을 훨씬 능가하여 주택 경제성이 사상 최저치로 떨어졌다. 보고서에 따르면 중간 주택의 가치는 중간 가족 소득의 4.6배가 넘었다.

팬데믹 기간 동안 경제 변동성으로 인해 사업체 소유가 증가했다. 2022년에는 20%의 가정이 비상장 기업을 소유하고 있었으며, 이는 사상 최대 비중이다. 실질 가족 평균 소득은 2019년부터 2022년까지 3% 증가했으며, 가장 부유한 개인들 사이에서 가장 큰 증가폭을 보였다. 재정 상태는 크게 개선되었으며, 재정적 취약성의 척도는 20년 만에 최저치로 떨어졌다.


노정용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noja@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