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9일(현지시간) 로이터, 블룸버그 등은 데이브 칼훈 보잉 CEO가 이날 시애틀 인근 자사 공장에서 전사원이 참석하는 회의를 통해 “우리는 실수를 인정하며, 이번 사고는 실수를 인정하는 것에서부터 접근하겠다”라며 “모든 과정에서 100% 완전한 투명성으로 이 문제를 다룰 것”이라 말했다고 보도했다.
지난 5일 177명을 태우고 오리건주 포틀랜드를 출발한 알래스카 항공 소속 보잉 737 맥스9 여객기는 이륙 후 얼마 되지 않아 기체 측면 비상구 덮개(도어플러그)가 떨어져 나가면서 동체에 구멍이 난 채로 비상 착륙했다.
칼훈 CEO는 또 “이같은 사고는 다시 발생하면 안된다”라며 “재발 방지를 위해 규제 당국과 협력하고, 앞으로 모든 항공기의 실제 안전을 보장하겠다”고 강조했다.
당시 보잉을 비판했던 미국의 위기 커뮤니케이션 전문가 폴 오스트라이셔는 로이터를 통해 “이번에 칼훈 CEO는 투명성의 중요성을 인정하면서 문제 해결을 위해 더욱 빠르게 행동하고 있다”고 평했다.
정통한 소식통에 따르면 보잉은 전날 별도 회의를 통해 이번 사고를 ‘품질 관리 문제’로 취급하고, 동체 생산 업체인 스피리트 에어로시스템스를 통해 점검을 진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 자사 공장과 공급업체에 서면 명령을 보내 이러한 문제가 해결되었는지 확인하고, 시스템과 프로세스에 대한 광범위한 점검을 수행한 것으로 나타났다.
담당 부처인 미 연방항공국(FAA)도 이날 “보잉이 (사고가 발생한) 737 맥스9기종에 대한 검사·유지 보수 지침을 개정하고 있다”며 보잉이 동일기종 점검에 본격적으로 나설 뜻을 밝혔다고 전했다.
FAA는 사고 직후 안전이 확인될 때 까지 자국 항공사들이 운용중인 동일 기종 171대의 운항을 중지시켰다. 보잉이 이들에 대한 점검을 시작하려면 FAA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한편, 이번 사고로 보잉 737 맥스 계열 항공기의 안전 논란이 다시 불거지면서 고객사들도 비판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팀 클라크 에미레이트 항공 사장은 “보잉은 오랜 기간 품질 관리 문제를 겪어왔고 이번 사고는 그 문제가 드러난 것”이라며 “이제 정신을 차린 것 같지만 도움은 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최용석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pch@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