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의 대형 국영 금융사들이 홍콩의 고소득 직원들에게 급여의 일부를 반환하라고 요구했다.
16일(현지시각)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최근 몇 달 동안 중국광대그룹과 중국화룽국제홀딩스의 홍콩 기반 임원들과 심지어 전직 직원들까지도 과거 보너스의 일부를 반환하라는 요청을 받았다.
호화로운 생활 방식으로 베이징에 의해 '쾌락주의자'로 비난 받은 고소득 금융 노동자들은 시진핑 주석의 평등한 부의 분배 추진으로 인해 가장 큰 타격을 받았다. 이러한 조치는 최고 인재를 유치하기 위해 높은 급여를 지급하던 시대와는 큰 변화를 나타낸다.
한 소식통은 중앙 정부가 현지 운영을 점검한 후, 홍콩에 상장된 광대그룹의 주요 자회사인 중국광대유한에서 보너스의 10% 미만을 환수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 정책이 얼마나 많은 직원들에게 영향을 미칠지, 임원 외 직원들에게까지 확대될지는 불분명하다.
이러한 조치는 지금까지 주로 본토 기반 직원들의 급여를 제한해온 국영 금융 대기업들의 긴축 노력이 강화된 것을 의미한다. 중국 은행가들은 최근 몇 년 동안 공산당이 66조 달러(약 9경1443조 원) 규모의 금융 부문에 대한 통제를 강화함에 따라 점점 더 큰 압박을 받고 있다.
경제 침체 속에서 높은 급여는 대중의 비판을 불러일으켰다. 시 주석의 대표적인 이 운동은 2021년 도입 이후 중국 금융 산업에 충격을 주었다. 중국 전역의 기업들은 급여를 대폭 삭감하고, 과거에 너무 높다고 여겨진 급여의 일부를 반환하도록 직원들에게 요청했다.
최근 지침이 몇 개의 금융 기관에 적용될지는 불분명하다. 그러나 이 조치는 팬데믹 시대의 여행 제한과 정치적 격변으로 약화된 홍콩의 금융 중심지로서의 지위를 얼마나 오래 유지할 수 있을지에 대한 의문을 더할 수 있다. 또한, 이는 침체된 소매 부문과 부동산 시장의 회복을 지연시킬 수 있다.
성일만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texan509@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