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부 여성 인재 부족과 외부 인재 영입의 어려움이라는 이중고에 직면한 기업들은 목표 달성을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지만, 현실적인 어려움에 봉착했다고 9월 29일(현지시각) 닛케이가 보도했다.
정부 목표를 달성하려면 최소 2,500명의 여성 이사가 더 필요하지만, 기업 내 여성 임원 후보 풀이 부족한 상황이다.
하지만 외부 여성 인재 영입도 쉽지 않다. 경험이 풍부한 여성 임원은 '몸값'이 높아 중소기업들이 감당하기 어렵다.
거버넌스 컨설팅 회사 ProNed에 따르면, 여러 회사에서 직책을 맡는 여성 사외 이사 비율이 높아, 이들을 영입하기 위한 경쟁이 치열하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기관 투자자들은 여성 임원 비율을 높이도록 기업들을 압박하고 있다.
일본 최대 자산운용사 중 하나인 스미토모 미쓰이 DS 자산운용은 2024년 1월부터 투표 기준을 강화해 여성 이사 비율을 10% 이상으로 의무화했다.
실제로 캐논은 2023년 연례 주주총회에서 여성 이사가 한 명도 없다는 이유로 CEO 선임 안건이 부결될 뻔했다.
전문가들은 일본 기업들이 여성 인재 육성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지적한다.
호주에 있는 다양성 및 포용성 컨설팅 회사 TDC Global의 사라 류 이사는 "일본 기업들은 종종 '우리는 작년에 한 명의 여성을 승진시켰다'라고 하지만, 그것은 아주 빠르지 않다"라며 "리더의 결단이 중요하다"라고 강조했다.
일본 정부의 목표 달성과 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여성 인재 육성을 위한 사회적 인식 개선과 제도 개선이 시급한 과제다.
일본 기업들의 여성 임원 비율 증대 노력은 한국 고용시장에도 여러 가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긍정적인 측면에서, 일본 기업들의 변화는 한국 기업에도 여성 인재 활용의 중요성을 일깨워줄 수 있다. 여성 임원 증가는 기업의 다양성을 높이고, 의사 결정 과정에서 더 균형 잡힌 시각을 제공하여 기업 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여성의 경력 개발 기회 확대는 여성 고용률 증가와 경제 활성화로 이어질 수 있다.
그러나 고려해야 할 사항도 있다. 일본과 한국은 사회문화적 배경이 다르기 때문에, 일본의 성공 사례가 한국에 그대로 적용될 수는 없다. 한국 기업들은 여성 인재 육성 및 활용에 대한 자체적인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
또한, 여성 임원 비율 증가에만 집중하는 것이 아니라, 여성들이 실질적인 의사 결정 권한을 가질 수 있도록 기업 문화를 개선하는 노력도 필요하다.
한국 사회는 여성의 경력 개발을 가로막는 유리 천장, 성별 임금 격차, 일과 가정 양립의 어려움 등 해결해야 할 과제가 많다. 일본의 사례를 참고하여 여성 인재 육성 및 활용을 위한 정책적 지원과 사회적 인식 개선 노력을 지속해야 할 것이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