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바이든 시대의 고물가 유산, 트럼프 행정부의 과제로

글로벌이코노믹

바이든 시대의 고물가 유산, 트럼프 행정부의 과제로

팬데믹 시기 과잉 부양책의 후폭풍, 물가안정 난제로
블랙프라이데이 쇼핑 주간 한 매장 모습.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블랙프라이데이 쇼핑 주간 한 매장 모습. 사진=로이터

미국 경제가 팬데믹 시기 과잉 부양책의 후유증으로 고물가와 씨름하는 가운데, 차기 정부의 경제정책 방향이 주목받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3일(현지시각) 바이든 행정부의 경제정책을 평가하고 차기 정부에 대한 제언을 담은 분석을 보도했다.

바이든 행정부의 1조9000억 달러 규모 미국구조계획은 경제 회복에 기여했으나, 과잉 수요를 유발해 인플레이션을 가속화했다. 연준의 제로금리 정책과 대규모 자산매입도 시장에 과잉 유동성을 공급하며 물가상승을 부추겼다. 그 결과 소비자물가는 팬데믹 이전 대비 크게 상승했고, 케이스실러 주택가격지수 기준 주택가격도 큰 폭의 상승세를 보였다.

연준의 금리 인상으로 인플레이션 속도는 둔화됐으나, 누적된 고물가의 영향은 지속되고 있다. 특히 주거비, 식품, 에너지 비용의 급격한 상승으로 중산층과 저소득층의 생활고가 심화되고 있다. 시카고 연준이 발표하는 전국금융여건지수(NFCI)는 여전히 "평균보다 느슨한" 상태를 보여, 현 통화정책의 실효성에 의문이 제기된다.

이런 상황에서 2025년 트럼프 행정부 출범은 새로운 변수가 될 전망이다. 트럼프는 대선 캠페인에서 보호무역 강화, 법인세 인하, 규제완화 등을 주요 공약으로 제시했다. 이러한 정책들은 단기적 경기부양 효과를 가져올 수 있으나, 재정적자 확대와 무역마찰 심화로 이어져 장기적으로는 경제 불안정을 초래할 수 있다.

트럼프 행정부의 보호무역과 감세 정책이 시행될 경우 시장에 새로운 유동성이 공급되며 물가안정 기조가 흔들릴 수 있다. 특히 관세 부과로 인한 수입물가 상승과 공급망 교란은 제조업 생산비용을 높이고 소비자물가 상승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이는 현재의 완화적 금융여건과 맞물려 인플레이션 압력을 가중시키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바이든 행정부의 과잉 부양책이 남긴 고물가 문제는 2025년 트럼프 행정부에도 큰 도전이 될 전망이다. 트럼프의 경제정책이 연준의 물가안정 목표와 충돌할 경우 금융시장 변동성이 확대될 수 있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