퀀텀컴퓨팅 등 관련주 평균 23% 급등, 실용화 시기 놓고 의견 분분
이미지 확대보기마이크로소프트(MS)가 양자컴퓨터 시대를 앞당기기 위한 본격적인 행보에 나섰다. 하지만 업계에서는 실용화 시기를 두고 의견이 엇갈린다.
MS는 14일(현지시각) 기업 블로그를 통해 "2025년이 기업들의 양자컴퓨터 준비 원년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MS는 "신뢰할 수 있는 양자컴퓨팅 시대가 도래했으며, 향후 12개월 동안 연구개발이 가속화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MS는 이미 양자컴퓨팅 분야에서 구체적인 성과를 내고 있다. 지난해 9월 영국 양자컴퓨터 기업 콴티뉴엄과 함께 12개의 큐비트를 99.8% 정확도로 제어하는 데 성공했다. 또한, 아톰 컴퓨팅과 협력해 2025년 상용 양자컴퓨터 출시를 준비하고 있다.
MS는 애저 퀀텀 플랫폼을 통해 기업들에게 양자컴퓨팅 클라우드 서비스도 제공하고 있다. 이를 통해 기업들은 기존 클라우드 서비스와 함께 양자 알고리즘을 실험하고 개발할 수 있다.
이날 발표 이후 퀀텀 컴퓨팅(+13.96%), 리게티 컴퓨팅(+47.93%), 아이온큐(+5.92%), 디웨이브 퀀텀(+23.50%) 등 4개 양자컴퓨팅 기업의 주가가 평균 23% 올랐다.
그러나 엔비디아의 젠슨 황 최고경영자(CEO)는 최근 CES 기술전시회에서 "양자컴퓨터가 실용적인 작업을 수행하기까지 최소 15년이 걸릴 것"이라고 지적했다.
캘리포니아공과대학 양자정보물질연구소 존 프리스킬 소장은 배런스와의 인터뷰에서 "비즈니스 가치가 있는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는 양자컴퓨터 개발에는 수십 년이 걸릴 수 있다"고 말했다.
예일대학교 스티븐 거빈 물리학 교수는 배런스와의 인터뷰에서 "양자컴퓨터의 경제적 효용을 보려면 10년은 더 걸릴 것"이라면서도 "기업들은 우수한 양자컴퓨터 하드웨어 등장에 대비해 3~5년 전부터 준비를 시작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양자컴퓨팅이 실용화되면 금융, 제약, 물류 등 다양한 산업에서 혁신이 기대된다. 금융권에서는 투자 포트폴리오 최적화와 위험관리에, 제약업계에서는 신약 개발 가속화에 활용할 수 있다.
다만 양자컴퓨터는 기술적 제약이 많다. 극저온(-460도 화씨) 환경이 필요하고, 양자 상태가 불안정해 오류가 발생하기 쉽다. 구축과 유지보수 비용도 매우 높다.
퀀텀서키츠의 레이 스메츠 CEO는 배런스와의 인터뷰에서 "2025년에 큰 진전이 있을 것으로 기대하지만 점진적으로 발전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




















![[초점] "콘솔 비켜라"…LG TV, 인도서 '엑스박스' 품고 게이밍 승...](https://nimage.g-enews.com/phpwas/restmb_setimgmake.php?w=80&h=60&m=1&simg=2025112209440305702fbbec65dfb210178127232.jpg)

![[초점] 美선 '부패 전력사'에 3500억 철퇴…韓선 "태양광 혈관, ...](https://nimage.g-enews.com/phpwas/restmb_setimgmake.php?w=80&h=60&m=1&simg=2025112209594301203fbbec65dfb210178127232.jpg)
![[실리콘 디코드] "美 보조금 받으면 中 장비 10년 퇴출"…삼성·...](https://nimage.g-enews.com/phpwas/restmb_setimgmake.php?w=80&h=60&m=1&simg=2025112208145206641fbbec65dfb210178127232.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