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젠슨 황 "중국과 AI 경쟁 격차 좁다"... 화웨이 "세계 최강 기술회사"

글로벌이코노믹

젠슨 황 "중국과 AI 경쟁 격차 좁다"... 화웨이 "세계 최강 기술회사"

시장에서 엔디비아에 대한 평가는 '매수' 우위 속에 '매도' 주장도 여전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4월30일 미국 워싱턴 DC 국회의사당의 방문자 센터 강당에서 열린 힐 앤 밸리 포럼에서 연설하고 있다.      사진=AFP/연합뉴스이미지 확대보기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4월30일 미국 워싱턴 DC 국회의사당의 방문자 센터 강당에서 열린 힐 앤 밸리 포럼에서 연설하고 있다. 사진=AFP/연합뉴스
미국과 중국 사이 인공지능(AI) 기술 경쟁이 점점 치열해지는 가운데, 엔비디아의 젠슨 황 CEO가 중국의 AI 기술력을 높이 평가했다.

지난달 30(현지시각) CNBC 보도에 따르면, 젠슨 황 사장은 워싱턴에서 열린 기술 모임에서 "중국은 인공지능 분야에서 뒤처지지 않는다""중국은 우리 바로 뒤에 있다"고 밝혔다. 특히 그는 "격차는 매우 좁혀졌다. 이 경쟁은 길고 끝없는 경쟁이라는 것을 기억하라"고 강조했다.

젠슨 황 사장은 미국의 무역 금지 목록에 올라 있는 화웨이에 대해서도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기술회사 중 하나"라고 평가했다. 그는 "화웨이는 컴퓨팅과 네트워크 기술, AI를 발전시키는 데 필요한 모든 핵심 기능에서 믿을 수 없을 만큼 뛰어나다""그들은 지난 몇 해 동안 엄청난 발전을 이뤘다"고 덧붙였다.

◇ 미국 AI 칩 수출 제한에도 중국 기술 경쟁력 올라... 엔비디아 "55억 달러 손실" 예상
엔비디아는 최근 몇 해 동안 첨단 AI 응용 프로그램을 움직이는 칩을 만들며 세계 경제의 핵심 회사로 떠올랐다. 하지만 트럼프 정부는 이달 초 엔비디아의 H20 칩을 허가 없이 중국으로 내보내는 것을 막았다. 이 칩은 이전 미국 수출 제한을 지키기 위해 개발한 기술이었다.

엔비디아 측은 이번 제한으로 55억 달러(78000억 원)의 손해를 볼 것이라고 밝혔다. 이런 가운데 화웨이는 중국 손님을 위해 자체 인공지능 칩을 개발하고 있다고 알려졌다.

젠슨 황 사장은 미국 정책이 자국 회사의 경쟁력을 높이는 데 초점을 맞춰야 하며, 중국과 다른 나라에 칩 판매를 제한하는 것은 미국의 기술 선도를 위협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 산업은 우리가 경쟁해야 할 산업"이라며 미국 정부가 기술 개발을 빠르게 하는 AI 정책에 집중해야 한다고 거듭 촉구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젠슨 황을 "내 친구 젠슨"이라고 부르며, 앞으로 5년 동안 미국에 5000억 달러(680조 원) 규모의 AI 기반시설을 지을 계획이라는 젠슨의 최근 발표를 반겼다.

젠슨 황 사장은 엔비디아가 미국에서 인공지능 장치를 만들 수 있을 것으로 믿는다고 밝혔다. 그는 "우리나라의 의지와 자원으로 우리는 국내에서 생산할 수 있다고 확신한다"고 말했다. 엔비디아는 이달 초 텍사스주 휴스턴 가까이에서 생산 협력사인 폭스콘과 함께 AI 서버를 조립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CNBC 보도에 따르면, 시포트 리서치 파트너스는 엔비디아에 보기 드문 '매도' 등급과 함께 주당 100달러(14만 원)의 목표가격을 제시하며 연구 보고서를 시작했다. 이는 지난 29일 끝값 109.02달러(155000)보다 8% 이상 낮다.

엔비디아 주가는 올해 21% 이상 내렸으며, 지난 1월 가장 높았던 때보다 거의 31% 낮아졌다. 이는 젠슨 황의 회사가 2023239% 치솟은 뒤 2024년에 171% 더 자란 AI 붐의 전성기와 크게 다르다.

시포트의 분석가 제이 골드버그는 "엔비디아는 지금 AI 지출 붐의 주요 수혜자 중 하나이지만, 그 전망은 잘 알려져 있으며 대부분 주식에 반영됐다"고 말했다. 그는 "AI는 올해 좋은 성과를 거둘 수 있지만, 엔비디아는 경쟁사보다 실적이 떨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덧붙였다.

골드버그 분석가는 지금까지 AI"상당한" 투자가 아직 급증하는 수익을 내지 못했기 때문에 AI의 실제 사용 예와 쓸모에 관한 질문이 늘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대형 IT 회사들의 자체 엔비디아 대안에 강한 추진력이 있으며, 엔비디아의 가장 큰 손님들은 모두 자체 칩을 설계하려 한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시포트의 견해는 월스트리트 다른 분석가들과 다르다. 팩트셋이 한 설문조사에 참여한 분석가의 약 87%가 엔비디아에 '매수' 등급을 유지했으며, 이들의 공통 목표는 주가가 거의 52% 오를 것으로 내다봤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