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美 관세 확대, AI 혁명 빨라지며 2025년 경기 위축 넘어설 전망

글로벌이코노믹

美 관세 확대, AI 혁명 빨라지며 2025년 경기 위축 넘어설 전망

수입품에 22% 관세 부과로 당장 성장 둔화하겠지만 AI 생산성 높아져 경제 새 활력 제공
2025년 1월 27일에 촬영된 이 그림에는 AI 인공 지능이라는 메시지, 키보드 및 로봇 손이 보인다.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2025년 1월 27일에 촬영된 이 그림에는 "AI 인공 지능"이라는 메시지, 키보드 및 로봇 손이 보인다. 사진=로이터
글로벌 투자 커뮤니티 'CFA 연구소' 소속 전 세계 투자 전문가인 아담 W. 샌박이 지난 5(현지시각) 시킹알파에 낸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의 새 관세 정책이 당장은 경제 불안을 일으키지만 길게 보면 AI 혁명을 빨리 진행하고 미국 경제에 새 성장 길을 열 것이라는 전망이다.

샌박은 "2024년 미국 대통령 선거 이후 시행된 대대적 관세와 새 무역 정책이 수십 년간 이어진 개방 시장의 끝을 알리고 있다""이런 변화가 잘 다루어지면 미국 경제성장의 새 시대를 열 수 있다"고 진단했다.

또한, 보고서는 새로 도입된 관세가 평균 수입 관세를 약 22%까지 올려 당장은 2025년 경제성장을 늦출 수 있지만, 동시에 AI 기반 투자와 생산성 향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강조했다. 특히 PC 시장이 1982년 물가안정 이후 크게 성장했고, 클라우드 서비스가 2009년 경제 회복 이후 잘 나갔던 것처럼, 기업 최고재무책임자들의 자본 투자 계획이 활발해질 것으로 보았다.

◇ 관세 정책과 AI 투자로 미국 경제 새 국면 기대
보고서에 따르면, 연방정부는 재정을 개선하려고 큰 조직 개혁을 추진하고 있으며, 이로 인한 연방 고용 감소와 관세 확대는 가벼운 경기 위축 위험을 가져올 수 있다. 하지만 이런 충격은 관세에서 거둔 돈의 약 10%'미국인 재고용 기금'(Re-Hire America)에 활용해 줄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 기금은 재교육 지원과 고용 보조금을 제공해 공직에서 물러난 인력이 민간 기업이나 주 정부 일자리로 빠르게 옮겨갈 수 있게 돕는다.

샌박은 "AI 생산성 급증은 상당한 공공-민간 투자와 함께 나타나며, 이는 미국이 2000년대 초반 이후 못한 생산성 큰 증가로 2025년 경기 위축을 넘어설 수 있다"고 설명했다.

시킹알파에 게시한 이 보고서는 또한 선도적 기술 기업들이 GPU 생산 시설 개발, 넓은 데이터센터를 위한 에너지 확보, 혁신적 모델 연구 추진을 위해 1조 달러(1392조 원) 이상을 쏟아부었으며, 반도체 및 과학법과 25%의 투자 세액 공제 같은 연방 정책이 건설 추진력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했다.

투자자들은 2025년 말까지 AI 데이터센터와 모델 훈련에 570억 달러(793000억 원)이 투자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으며, 금융, 미디어, 제조 같은 분야의 실적 발표에서 AI 언급이 눈에 띄게 늘고 있다고 보고서는 짚었다.

전문가들은 첨단 AI가 일자리를 줄이기보다 미국의 잠재력을 키워 사람의 창의력이 필요한 높은 수준의 일에 근로자들이 집중할 수 있게 할 것으로 분석한다. 보고서에 따르면 프롬프트 엔지니어, 모델 감사관, 데이터 윤리 전문가, AI 지원 제품 관리자 같은 새 역할이 국내 경쟁력을 높일 준비가 되어 있다.

샌박은 "2030년에는 미국인 다섯 명 중 한 명이 은퇴를 앞두고 있다""이런 상황에서 AI 기술은 마치 신체를 보조하는 외골격처럼 사람의 생각과 지식을 증폭시키는 '지능 확장 도구'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이를 통해 "경험 많은 전문가들의 생산성이 높아지고, 젊은 세대는 더 빠르게 전문성을 쌓을 수 있다"면서 "이런 변화는 인구 고령화라는 어려움을 강한 전략적 이점으로 바꿀 수 있다"고 내다봤다.

한편 이 보고서는 AI 주도 성장의 잠재력을 최대한 활용하려면 임금 평등 달성, 비자 허점 제거, 평생 학습 투자, 에너지 허가 간소화 등 결단력 있는 정책 실행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를 통해 2025년 관세 부과에 따른 경기 둔화가 오히려 앞으로 수십 년 동안 미국 산업을 활성화하고, 중산층을 넓히며, 미국의 경제 주도권을 유지하는 촉매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이 보고서는 내다 보았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