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반도체 관세 임박 신호? "대만·한국 통화 강세로 미국 시장 타격 우려"

글로벌이코노믹

반도체 관세 임박 신호? "대만·한국 통화 강세로 미국 시장 타격 우려"

모트 캐피털 "7일 공개 의견 듣기 마감 뒤 관세 부과 가능성 커"
반도체에 관세가 부과될 경우 산업 전반에 악영향이 우려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반도체에 관세가 부과될 경우 산업 전반에 악영향이 우려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사진=로이터
반도체에 미국이 관세를 부과할 가능성이 점점 커지면서 전 세계 주식시장에 충격을 줄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모트 캐피털 매니지먼트는 지난 5일(현지 시각) 투자 정보 사이트 시킹알파에 올린 보고서에서 "최근 주가가 많이 올랐지만 반도체 관세 부과 가능성 때문에 시장 오름세가 꺾일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 상무부는 지난달 1일 반도체와 반도체 제조 장비 수입에 관한 '섹션 232 조사'를 시작했으며, 공개 의견 듣기 기간이 7일에 끝난다. 이는 관세가 그 뒤에 언제든지 부과될 수 있음을 뜻한다.

모트 캐피털은 "대만 달러와 한국 원화가 최근 이틀 동안 크게 강해진 것은 반도체 관세 부과가 곧 다가왔음을 알리는 신호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특히 대만과 한국은 미국에 반도체를 많이 수출하는 나라라는 공통점이 있어 이례적인 환율 변동이 반도체 관세 발표에 앞서 시장의 앞선 반응일 가능성이 크다는 설명이다.

◇ 관세 발표, 달러 약세·주식시장 충격 일으킬 듯


모트 캐피털의 분석에 따르면 과거 관세 발표 뒤에는 여러 통화에서 달러가 약해지는 경향이 있었다. 실제 유로, 스위스 프랑, 영국 파운드, 캐나다 달러 모두 지난 관세 발표 뒤 강해졌다.

이런 흐름을 볼 때 "대만 달러와 한국 원화의 최근 움직임 속도로 볼 때 관세 발표가 빠른 시일 안에 이루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모트 캐피털은 예측했다.

이러한 관세 부과는 주식시장에 나쁜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크다. 모트 캐피털은 "관세 규모에 따라 주식시장이 나쁘게 반응할 수 있으며, 이는 기업의 수익과 이익 폭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보고서는 또한 지난달 12일 미국 대통령이 반도체와 기술 관련 품목을 관세 제품 목록에서 뺐지만, 이 제외는 잠시일 뿐이며 분야별 관세가 나중에 나올 것이라고 언급했다.

한편 증권가에서는 최근 미국 주식이 9일 연속 올라 수십 년 만에 가장 긴 연속 상승을 기록했으나 이러한 상승세 중 일부는 자금 부족과 관련이 있을 수 있으며, 반도체 관세 발표 때문에 기술주에 대한 시장의 낙관론이 꺾일 가능성이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고 이 보고서는 전망하고 있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