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中, 미국·EU·일본·대만산 플라스틱에 최대 74.9% 反덤핑관세

글로벌이코노믹

中, 미국·EU·일본·대만산 플라스틱에 최대 74.9% 反덤핑관세



지난달 17일(현지시각) 중국 광둥성 선전 옌톈항에서 컨테이너를 실은 트럭이 이동하고 있다.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지난달 17일(현지시각) 중국 광둥성 선전 옌톈항에서 컨테이너를 실은 트럭이 이동하고 있다. 사진=로이터


중국 정부가 미국. 유럽연합(EU), 일본, 대만에서 수입되는 특정 공업용 플라스틱에 최대 74.9%의 반덤핑관세를 부과하기로 했다.

이는 지난해 미국이 중국산 전기차 및 반도체 등에 대해 고율의 관세를 부과한 것에 대한 대응 성격으로 해석된다.
18일(현지시각)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중국 상무부는 전날 발표한 조사 결과를 통해 미국, EU, 일본, 대만산 폴리옥시메틸렌(POM) 공중합체가 중국 시장에서 부당하게 저가 판매돼 자국 산업에 피해를 줬다고 판단했다.

POM 공중합체는 구리와 아연 등 금속을 대체할 수 있는 고성능 플라스틱으로, 자동차 부품, 전자기기, 의료기기 등 다양한 분야에 사용된다.

상무부는 이같은 조사 결과에 따라 미국산 제품에는 최고 74.9%, EU산에는 34.5%, 일본산에는 35.5%의 반덤핑관세를 부과하기로 했다고 밝혔. 일본 아사히카세이의 경우 개별 기업으로 구분해 24.5%의 관세가 적용된다.

대만 제품에는 일반적으로 32.6%의 관세가 매겨지며 포모사 플라스틱은 4%, 폴리플라스틱스 타이완은 3.8%로 개별 관세율이 적용됐다.

상무부는 지난해 5월 미국이 중국산 전기차와 반도체 등에 대해 고율 관세를 부과한 직후 POM 공중합체에 대한 반덤핑 조사에 착수했다. 이후 올해 1월 예비 조사 결과 덤핑이 확인됐다는 판단 아래 1월 24일부터 보증금 형태로 임시 반덤핑 조치를 시행해왔다.

한편, 중국과 미국은 지난 12일 상호 관세를 90일간 대폭 인하하기로 합의하며 무역 갈등 완화의 신호를 보냈다. 중국 관영매체 글로벌타임스는 이같은 관세 인하 조치가 연장돼야 한다고 지난 16일 주장한 바 있다.

이와 관련해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는 17일 한국에서 열린 회의 후 채택한 공동성명을 통해 "세계 무역 체계가 근본적인 도전에 직면해 있다"고 경고했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