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나다 밴프에서 22일까지 열려...공식 회의에서는 관세 논의 배제

로이터 통신은 19일(현지 시각) “G7 재무장관들이 이번 회의에서 관세보다는 경제 안보, 우크라이나, 인공지능(AI) 분야 협력 등을 집중적으로 논의할 예정”이라고 보도했다. G7은 분열을 막으려고, 다소 모호한 내용과 행동 강령이 담긴 공동 성명을 내놓을 것이라고 로이터가 전했다. G7 국가들은 이번 회의가 시작되기 전에 사전 협의를 거쳐 공동성명의 초안을 마련한 상태이다.
이번 회의에는 G7 재무부 장관과 함께 7개국 중앙은행 총재가 참석한다. 미국에서는 베선트 재무부 장관과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이 참석한다.
G7이 현재 직면한 최대 현안은 트럼프 대통령이 모든 나라에 부과한 10%의 기본 관세와 한국 등 57개국을 겨냥한 상호 관세 문제다. 트럼프 대통령은 G7 회원국인 일본·독일·프랑스·이탈리아에 최소 20% 이상의 상호 관세를 부과했다. 다만, 미국이 90일간의 유예 기간을 설정하고, 오는 7월 8일까지 개별 국가와 협상을 계속하고 있다.
미국은 또 캐나다에는 상호 관세와 별개로 25%의 관세를 부과했다. 미국은 G7 국가 중 유일하게 영국과 관세 협상을 타결했다.
관세 문제는 미국을 제외한 나머지 6개국 재무부 장관들이 베선트 장관과 개별 면담 자리에서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 6개국 장관들은 미국과의 우호 관계를 내세워 관세 면제를 요구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들 국가는 또한 트럼프 정부가 요구하는 중국에 대한 경제적 압박에 동참하기 어렵다는 점을 강조할 것이라고 전문가들이 전망했다.
미 재무부는 “베선트 장관이 G7과 G7 이외 국가들과의 불균형 문제와 이들 국가의 비시장 관행 문제를 제기할 것”이라고 밝혔다. 베선트 장관은 중국이 정부의 보조금 지원으로 제품을 과잉 생산해 수출하는 문제에 대한 공동 대응 필요성을 강조해 왔다고 로이터가 전했다.
일본은 미국 측과 G7 재무장관 회의를 계기로 환율 문제를 논의하는 방안을 모색 중이다. 가토 가쓰노부 일본 재무상은 "여건이 조성되면 베선트 재무장관과 회담할 것"이라고 말했다.
러시아와 전쟁 중인 우크라이나에 대한 지원 문제도 이번 회의의 핵심 의제다. 유럽연합(EU)은 러시아산 원유 가격 상한선을 현행 배럴당 60달러에서 50달러로 낮춰 제재를 강화하려고 한다고 로이터가 보도했다. 발디스 돔브로우스키스 EU 경제 담당 집행위원은 G7 재무장관 회의에서 이 방안을 협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EU는 최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미국이 중재하고 우크라이나가 동의한 무조건적인 30일 휴전을 거부하고 있다며 러시아에 대한 압박 강화 수단으로 추가 제재를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러시아와 직접 대화하고 있는 미국이 동참할지 아직 확실하지 않다.
트럼프 대통령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19일 트럼프 정부 집권 2기 출범 이후 3번째로 전화 통화를 했다. 그러나 '즉각적이고 조건 없는 휴전' 합의나 러시아-우크라이나 정상회담 개최 등과 관련한 구체적인 진전이나 돌파구가 마련되지는 않았다.
국기연 글로벌이코노믹 워싱턴 특파원 ku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