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선트 재무 “협상 의지가 없는 나라는 연장하지 않을 것”

12일(이하 현지 시각) 야후파이낸스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워싱턴DC 케네디센터에서 기자들과 만나 “이제 곧 각국에 편지를 보내겠다. 이게 우리의 조건이고 받아들이든지 말든지는 대상국의 선택”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급작스레 부과한 고율 관세를 일시 중단했으며 이 중단 조치는 다음 달 9일 종료될 예정이다. 그러나 이날 발언은 협상 기한을 앞두고 관세 강행 가능성을 다시 시사한 것이어서 향후 전개에 불확실성을 더하고 있다.
앞서 같은 날 스콧 베선트 미 재무부 장관은 하원 세입위원회 청문회에서 “현재 18개 주요 교역국과 협상이 진행 중”이라면서 “이들이 성실히 협상에 임하고 있다면 관세 유예 기한을 연장할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이 같은 상황 속에서 미국과 중국은 전날 무역 갈등 해소를 위한 기본 틀과 이행 계획에 합의했으며 현재 양국 정상의 최종 서명만 남은 상태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 합의를 두고 “합의는 완료됐다. 이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나의 최종 승인만 남았다”면서 “중국이 희토류와 자석을 먼저 공급하기로 했고, 우리는 중국 유학생의 미국 내 대학 수학을 허용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상에서 미국은 중국산 수입품에 총 55%의 관세를 적용한다고 밝혔다. 이는 기존 관세와 ‘해방의 날(Liberation Day)’이라는 이름으로 발표된 10% 기본 관세, 펜타닐 관련 품목 관세 등을 모두 합산한 수치로 새 관세는 포함되지 않았다.
그러나 중국 측의 양보는 제한적이란 지적이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중국이 희토류 수출 규제를 단 6개월 동안만 완화하기로 합의했다고 보도했다. 미국 제조업체들, 특히 자동차 업계는 이 같은 제한된 조치가 향후 협상에서 중국의 레버리지로 작용할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이에 대해 베선트 장관은 “이번 합의는 최종 무역 합의를 향한 긴 여정의 일부일 뿐”이라며 “단기적인 진전을 이룬 것이며 앞으로도 긴 협상 과정이 남아있다”고 말했다.
미 상무부 하워드 러트닉 장관도 CNBC 인터뷰에서 “중국산 수입품에 부과된 관세 수준은 더는 바뀌지 않을 것이라고 확언할 수 있다”면서 “지금 우리는 중국과 매우 긍정적인 관계에 있다”고 밝혔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달 일시적으로 부과했던 145% 관세로 인해 5월 미국의 해상 수입량이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데이터 분석업체 데스카르테스 데이터마인의 자료에 따르면 주요 항만에서 수입량이 급감했고, 이로 인해 소매업체와 제조업체의 공급망에도 영향을 미쳤다.
미 재무부는 이 같은 고율 관세로 인해 5월 미국의 세관 수입이 전년 동월 대비 약 4배 증가한 230억 달러(약 31조2600억 원)에 이르렀다고 밝혔다.
물가 측면에서는 아직 관세가 본격적으로 소비자 물가에 반영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5월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전월 대비 0.1%, 전년 동월 대비 2.4% 상승해 시장 예상보다 낮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