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트럼프, 12개국에 최대 70% 관세 통보...8월 1일부터 본격 부과

글로벌이코노믹

트럼프, 12개국에 최대 70% 관세 통보...8월 1일부터 본격 부과

미국, 상호관세 유예 종료 앞두고 무역갈등 재점화...한국 포함 가능성에 금융시장 불안 커져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오는 7일 최근 12개 나라에 최대 70%에 이르는 관세율을 통보하는 서한을 보낼 계획이다.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오는 7일 최근 12개 나라에 최대 70%에 이르는 관세율을 통보하는 서한을 보낼 계획이다. 사진=로이터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오는 7일 최근 12개 나라에 최대 70%에 이르는 관세율을 통보하는 서한을 보낼 계획이라고 지난 5(현지시각) 워싱턴포스트가 전했다. 이 조치는 90일간 이어진 상호관세 유예가 끝나는 시점에 맞춰 진행되는 것으로, 세계 무역질서와 금융시장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81일부터 최대 70% 관세...한국 등 12개국에 서한 발송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에어포스원에서 기자들과 만나 "12개 나라에 관세율이 적힌 서한에 서명했고, 이 서한은 7일에 발송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율은 10~20%에서 60~70%까지 다양하게 정했다"고 설명했다. 관세 부과 시점은 81일로, 유예기간이 끝난 뒤 약 3주 동안 추가 협상 기회가 주어진 셈이다.

서한을 받는 나라와 각국별 세율은 공개되지 않았으나, 업계에서는 한국, 태국 등 주요 무역 상대국이 포함된 것으로 보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 42일 전 세계를 대상으로 10~50%의 상호관세 부과 방침을 밝힌 뒤, 90일간 유예기간을 두고 각국과 협상을 진행해왔다. 지금까지 미국과 무역 합의에 이른 나라는 영국, 베트남 등 일부에 그친다.
금융시장 불안...기업과 시장 참여자들 "불확실성 커져"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서한 발송 예고 이후, 유럽 주요 증시와 미국 주식 선물시장은 하락했다. 월가에서는 "관세 유예 종료와 함께 무역갈등이 다시 커질 수 있다"는 우려가 확산되고 있다. 업계에서는 "최근 비교적 안정세를 보이던 금융시장에 다시 불확실성이 커졌다"는 평가가 나온다.

트럼프 대통령은 "복잡한 무역협상 대신 각국에 일방적으로 관세율을 통보하는 방식이 더 효율적"이라고 강조했다. 실제로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 4월 상호관세 발표 직후 일주일 만에 상당 부분을 중단한 적이 있다. 이후 90일 유예기간 동안 영국, 중국, 베트남 등과 세 차례 협상을 했으나, 대부분의 나라와는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

◇ 관세 유예 만료와 추가 협상 가능성

상호관세 유예기간은 79일 끝난다. 다만, 일부 나라에는 추가 유예기간이 주어질 수 있다는 가능성도 있다. 스콧 베센트 미국 재무장관은 최근 인터뷰에서 "마감 시한은 바뀔 수 있고, 노동절까지 무역 협상을 마치는 것이 목표"라고 밝혔다. 백악관 대변인도 "유예 연장 여부는 대통령의 결정에 달려 있다"고 말했다.

시장 참여자들 사이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율을 실제로 얼마나 높게 적용할지는 알 수 없다"는 해석이 많다. 예를 들어, 베트남과의 합의에는 20% 관세율이 포함됐으나, 이는 트럼프 대통령이 4월에 제시했던 상한선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수준이다.

트럼프 대통령의 12개국 관세 서한 발송은 세계 무역질서와 금융시장에 큰 변화를 예고하고 있다. 업계에서는 "이번 조치가 기업과 시장에 새로운 불확실성을 불러올 수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앞으로 각국과의 협상 결과와 트럼프 행정부의 최종 관세율 결정이 국제 경제에 어떤 영향을 줄지 주목된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