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호화폐 보유기업 국유화" "트럼프 관세폭탄 상대강도지수 RSI 이상신호"

비트코인 가격이 50일 지수이동평균(EMA)에 도달한 후 되돌아가는 역사적 패턴을 보이고 있다는 점이 주목된다. 프렌들리록스는 과거 가격이 50일 지수이동평균을 터치한 후 다시 확장될 때마다 폭락이 이어졌으며, 현재 비트코인이 이 패턴을 반복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상대강도지수(RSI)와 이동평균 수렴확산 지수(MACD) 등 다른 기술적 지표들도 모멘텀 상실을 보여주며 음수 영역으로 진입했다.
프렌들리록스는 비트코인의 여러 지표에서 약세 신호들이 동시에 나타나면서 현재 수준에서 약 50% 하락할 것으로 예측했다. 거래량이 계속 감소하고 모멘텀이 음수로 전환하면서 비트코인 가격이 50일 지수이동평균 수준으로 하락해 6만 달러 선에서 거래될 수 있다고 진단했다. 이는 2020년 코로나19 사태나 2022년 FTX 사태로 인한 시장 충격과 맞먹는 수준으로, 알트코인 전반에 걸쳐 대규모 손실을 초래할 것으로 예상된다. 정확한 시점에 대해서는 명확한 타임라인이 없다. 프렌들리록스는 자신이 제시한 차트 기준 비트코인 50% 하락 시나리오가 완전히 실현되기까지 시간이 이 걸릴 수 있다고 전했다.
비트코인(Bitcoin, BTC)이 3월 조정 직전과 유사한 차트를 다시 그리면서 30% 하락 가능성도 나오고 있다. 주간 볼린저밴드(Bollinger Bands)가 당시와 거의 동일한 형태를 보이기 시작했고, 상대강도지수(RSI)도 비슷한 위치에서 약세로 전환되고 있다. 상대지수강도(RSI)가 주목할 지점이다. 현재 지표는 64 아래로 내려가고 있으며, 지난 조정 당시에도 유사한 수준에서 모멘텀 전환이 발생했다. 해당 수치는 단독으로는 하락 신호로 보기 어렵지만, 과거 흐름과 일치하는 점에서 유의미한 참고 지표가 되고 있다. 유투데이는 아직 명확한 하락이 시작된 것은 아니라고 강조하면서도 빠른 급락보다는 지난번처럼 뚜렷한 매수세 부재와 함께 점진적인 가격 하락이 재현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현재는 거래량 급등이나 극단적인 가격 움직임 없이, 기술적 패턴만이 과거와 유사하게 형성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 논쟁은 암호화폐 애널리스트 윌리 우(Willy Woo)의 제안에서 촉발됐다. 그는 전략 금 보유고를 시가로 평가해 매각한 뒤, 곰 시장에서 저평가된 마이크로스트래티지를 국유화해 전략적 BTC 비축을 완성하는 시나리오를 제안했다. 공식적인 정부 방침은 없지만, 이는 비트코인을 둘러싼 지정학적 가치와 전략적 자산화 가능성이 부각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연방정부 뿐 아니라 주 단위에서도 현실화되고 있다. 텍사스주는 지난달 공식적으로 ‘비트코인 전략 비축 법안’을 통과시켰으며, 향후 다른 주나 국가 단위로도 확산될 가능성이 있다. 민간 자산에 대한 개입이 정당화될 수 있는지, 미국이 어떤 길을 선택할지는 향후 금융 및 안보 정책에 깊은 영향을 줄 전망이다.
미국 암호화폐 비축 법안이 연이어 무산되면서 비트코인 이더리움 리플 등이 요동치고 있다. 미국 애리조나 주지사 케이티 홉스(Katie Hobbs)가 또다시 비트코인(Bitcoin, BTC) 준비금 관련 법안을 거부했다. 그바람에 암호화폐를 주정부 재정 체계에 도입하려는 시도가 연달아 무산되고 있다. 홉스 주지사는 최근 하원에서 통과된 ‘하원 법안 2324(HB 2324)’에 대해 거부권을 행사했다. 해당 법안은 범죄 수익 압수 자산을 기반으로 ‘비트코인 및 디지털 자산 준비기금’을 조성하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 이 법안은 5월 초 하원 본회의 표결에서 한 차례 부결됐지만, 6월 말 상원을 통과한 후 6월 24일 하원에서도 34대 22로 가결되며 부활했다. 홉스 주지사는 법안 거부 사유서에서 “압수된 자산을 지역 관할권에서 분리하면, 주정부와 지역 경찰 간 협력이 약화될 수 있다”고 밝혔다.
<상기 기사는 보도용으로 작성된 것으로 투자 안내나 재테크 가이드와 전혀 무관한 것입니다. 이를 근거로 한 투자 손실에 대해서는 일체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김대호 글로벌이코노믹 연구소장 tiger8280@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