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연준 FOMC 금리인하 전면 재조정

글로벌이코노믹

연준 FOMC 금리인하 전면 재조정

뉴욕증시 국채금리 비트코인 팔란티어 "폭발"
연준 FOMC/사진= 로이터   이미지 확대보기
연준 FOMC/사진= 로이터
연준 FOMC 금리인하 전면 재조정 뉴욕증시 국채금리 비트코인 팔란티어 폭발

미국의 고용 사정이 생각했던 것보다 빠른 속도로 악화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서 월가에선 오는 9월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기준금리 인하를 기정사실로 하면서 연준이 '빅컷'(0.50%포인트 금리 인하)에 나설 것이란 관측까지 나오고 있다.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 블랙록의 릭 라이더 글로벌 채권 부문 최고투자책임자(CIO)는 1일(현지시간) 투자자 노트에서 "9월 금리 인하를 정당화하기 위해 연준이 필요로 했던 증거가 오늘 고용보고서에서 나타났다"며 "이제 남은 질문은 인하 폭이 어느 정도냐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노동시장에 유휴인력이 조금이라도 쌓이거나 월간 일자리 증가 폭이 10만명을 계속 밑돈다면 연준이 금리 인하를 개시할 것이고, 향후 지표 결과에 따라 9월 50bp(1bp=0.01%포인트) 인하도 가능할 수 있다"라고 말했다.
연준은 지난해 9월 노동시장의 급격한 악화 가능성을 우려해 전격적으로 50bp 금리 인하에 나선 바 있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지난달 30일 회견에서 현 금리 수준이 부적절하게 경제의 발목을 잡고 있다고 보지 않는다고 평가하면서 "9월 회의에 대해 어떤 결정도 내리지 않았다"라고 밝힌 바 있다.

시장은 이 같은 발언을 매파적(통화긴축 선호)으로 해석하고 9월 금리 동결 기대감을 키웠다.

그러나 이날 미 노동부가 발표한 고용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몇 달 새 미국의 고용 증가세가 눈에 띄게 약해진 것으로 확인됐다.

7월 미국의 비농업 일자리는 전월 대비 7만3천명 증가해 다우존스가 집계한 전문가 전망(10만명)을 밑돌았고, 5∼6월 일자리 증가 폭은 종전 발표 대비 총 25만8천명 하향 조정됐다.

국고채 금리가 4일 미국의 '고용 충격'에 따른 금리 인하 기대감에 장중 크게 하락했다.

연합인포맥스에 따르면 이날 오전 9시 37분 현재 국고채 3년물 금리는 8.2bp(1bp=0.01%포인트) 하락한 2.393%를 기록했다.

10년물과 30년물 금리는 각각 7.3bp, 6.2bp 하락한 2.762%, 2.692%를 기록 중이다.

반면 국채 선물은 급등했다.

3년 국채 선물은 전일 대비 27틱 오른 107.47을, 10년 국채 선물은 75틱 오른 118.83을 기록했다.

외국인 투자자가 각각 8천415계약, 8천6계약 순매수하며 국채 선물 시장을 이끌고 있다.

이는 미국의 고용 지표가 악화한 것으로 나타나면서 기준금리 인하 기대감이 다시 강화한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앞서 미국 노동부가 지난 1일(현지시간) 발표한 고용보고서에서 7월 미국의 비농업 일자리는 전월 대비 7만3천 명 증가해 시장이 집계한 전문가 전망(10만 명)을 밑돌았다.

5∼6월 일자리 증가 폭은 이전에 발표된 수치에서 총 25만8천 명 하향 조정됐다. 실업률은 4.1%에서 4.2%로 상승했다.

이에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가 9월 기준금리를 낮출 것이라는 예상이 84%까지 올라갔다고 외신은 보도했다.

임재균 KB증권 연구원은 "7월 FOMC(연방공개시장위원회)에서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매파적(통화 긴축 선호)인 모습을 보이면서 9월 인하 기대감은 축소됐다"며 "그러나 실업률이 상승하면서 고용시장의 우려는 확대됐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2024년과 같이 연준의 금리 인하 실기론도 거론될 것"이라며 "9월 9일 발표되는 8월 고용이 생각보다 강한 모습을 보여도 연간 벤치마크 수정에 따라 1분기까지의 고용지표가 하향 조정된다면 금리인하 기대감은 지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코스피가 5일 미국 금리 인하 기대에 1.6% 올라 3,200선 목전에서 장을 마쳤다.

이날 코스피는 전장보다 50.25포인트(1.60%) 오른 3,198.00에 장을 마치며 이틀째 상승세를 나타냈다.

지수는 전장보다 39.40포인트(1.25%) 오른 3,187.15로 출발해 한때 3,212.31까지 올랐으나 장중 오름폭을 줄였다.

이날 오후 3시 30분 기준 서울 외환시장에서 달러 대비 원화 환율은 전날보다 3.1원 오른 1,388.3원을 나타냈다.

유가증권시장에서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2천952억원, 945억원 순매수하며 지수 상승을 이끌었다. 개인은 4천718억원 순매도하며 차익 실현에 나섰다.

외국인은 코스피200선물시장에서도 2천748억원 '사자'를 나타냈다.

이날 국내 증시는 간밤 미국 증시가 금리 인하 기대에 1% 넘게 오르자 덩달아 상승하는 흐름을 보였다.

미국 고용 지표 악화로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금리 인하를 앞당길 수 있다는 기대가 번진 데다, '매파 성향'(통화긴축 선호)인 아드리아나 쿠글러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이사의 퇴임에 9월 금리 인하 기대가 커지면서 투자심리를 개선했다.

특히 엔비디아가 3.6% 급등하고, 인공지능 기반 데이터 분석 소프트웨어 업체 팔란티어도 사상 최대 2분기 매출을 공개하면서 기술주에 대한 매수세를 자극했다.

다만 국내 세제 개편안 관련 뉴스에 투자자들이 촉각을 곤두세우는 가운데 하락 출발한 원/달러 환율이 상승세로 돌아서면서 증시는 장중 오름폭을 일부 줄이는 흐름을 보였다.

이재원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코스피는 커진 미국 금리 인하 기대감 속 호실적 종목의 상승폭이 확대됐다"며 "금리 인하 기대에 이차전지, 바이오주 등 성장주가 상대적 강세를 보였다"고 설명했다.

엔비디아 강세에 SK하이닉스(2.13%)가 3거래일 만에 종가 기준 26만원을 웃돌았다. 삼성전자(0.29%)는 장중 '7만전자'를 터치했으나 오름폭을 줄여 종가 기준 7만원선 회복에는 실패했다.

금리 인하 기대가 커지면서 LG에너지솔루션[373220](2.93%), POSCO홀딩스[005490](2.76%) 등 이차전지주와 삼성바이오로직스(0.29%), 셀트리온[068270](2.24%) 등 바이오주가 올랐다.

지난주 말 정부의 세제 개편안에 대한 실망감에 급락했던 KB금융[105560](3.69%), 신한지주[055550](3.19%) 등 금융주는 저가 매수세가 유입되며 이틀 연속 상승했다.

반면 현대차[005380](-0.24%), 기아[000270](-1.36%) 등 자동차주가 내렸다.

아울러 카카오(-1.26%)는 정부가 추진하는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구축 사업의 지원 대상으로 선정되지 못했다는 보도에 하락했고 자회사가 지원 대상으로 선정된 NAVER[035420](-0.22%)도 내렸다.

업종별로 보면 금융(2.37%), 화학(1.98%), 전기전자(1.72%) 등이 올랐으며 섬유의류(-0.59%) 등은 내렸다.

코스닥지수도 전장보다 14.54포인트(1.85%) 오른 798.60에 장을 마쳤다.

지수는 전장보다 7.88포인트(1.01%) 오른 791.94로 출발해 상승폭을 키워 한때 800선을 회복했으나 장중 오름폭을 줄였다.

코스닥시장에서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467억원, 256억원 순매수했으며, 개인은 631억원 매도 우위를 보였다.

에코프로비엠[247540]이 2분기 호실적을 공개하면서 15.28% 급등했으며, 모회사 에코프로[086520](8.54%)도 뛰었다.

아울러 알테오젠[196170](2.78%), 펩트론[087010](0.34%), 파마리서치[214450](1.62%), 레인보우로보틱스[277810](3.82%) 등도 상승했다.

반면 HLB[028300](-0.63%), 에스엠[041510](-0.07%), 펄어비스[263750](-0.51%), 네이처셀[007390](-0.84%) 등은 하락했다.

이날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의 거래대금은 각각 10조9천470억원, 4조7천850억원으로 집계됐다.

대체거래소 넥스트레이드의 프리마켓과 정규마켓의 거래대금은 총 7조630억원이다.

미국 주식시장이 단기적으로 조정을 보일 수 있다는 경고가 월가에서 나오고 있다.

주가가 많이 오른 데다 경제지표도 안 좋게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미국 대형 투자은행 모건스탠리와 에버코어 ISI, 독일 최대 상업은행 도이체방크 등은 4일(현지시간) 보고서에서 뉴욕 증시의 대표 지수인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이 향후 몇주 혹은 몇 달 내에 단기적으로 하락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모건스탠리의 마이크 윌슨 전략가는 미국 정부의 관세가 민간 소비와 기업 경영에 타격을 입히면서 이번 분기에 최대 10%의 주가 조정이 있을 것으로 예측했다.

윌슨은 고객들에게 보낸 메모에서 "투자자들은 최근 몇 주간 3분기에 소폭 하락이 있을 것임을 예상하게 됐다"고 했다.

에버코어ISI의 줄리언 이매뉴얼은 최대 15%의 하락이 나올 수 있다고 전망했다.

도이체방크의 파라그 타테 분석팀도 뉴욕 주식 시장이 3개월 넘게 강세를 보여 왔기 때문에 소폭 하락은 불가피하다고 봤다.

뉴욕증권거래소

[UPI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원본프리뷰

뉴욕 증시는 지난 4월 저점을 기록한 뒤 급등해 지금은 사상 최고치 수준이다.

최근 나오는 미국 경제 지표는 물가의 소폭 상승과 노동시장 약세, 소비 지출 약세를 보여준다.

뉴욕 증시가 연중 가장 약세를 보이는 시기에 접어들었다는 점도 조정 예상의 근거가 됐다.

블룸버그 집계 자료에 따르면 지난 30년 동안 S&P 500지수는 8월과 9월에 각각 0.7%의 하락률을 기록, 가장 저조한 성적을 보였다. 이외의 달에 평균 1.1% 상승한 것과 대비된다.

최근 주가가 많이 오른 것도 부담이다.

주가의 상승·하락 압력을 나타내는 보조지표 주가 상대강도지수(RSI)로 볼 때 S&P 500의 최근 14일 RSI는 76을 넘어섰다. 지난해 7월 이후 최고치다.

옵션시장에서도 조정에 대한 투자자들의 우려가 드러났다.

향후 60일 동안 SPDR S&P 500 ETF 트러스트(SPY)가 10% 하락할 경우를 대비한 헤지 비용은 10% 상승에 대비한 비용과 비교했을 때 2023년 5월 지방은행 위기 이후 가장 높았다.

단기적인 조정 경고에도 불구하고 큰 흐름은 강세를 유지할 것이라는 전망도 함께 나왔다.

에버코어 보고서는 변동성이 있겠지만 주가가 장기적으로 강세장을 보일 것이라면서 특히 인공지능(AI) 수혜 기업에 투자하라고 조언했다.

도이체방크도 과거 S&P 500지수가 평균 1.5~2개월마다 약 3% 하락했지만 3~4개월마다 5% 이상 상승했다면서 "주가가 떨어지면 매수하는 자세를 유지하라"고 했다.

이르면 9월 미국 기준금리가 인하될 거라는 기대가 커지면서 미국 장기채 상장지수펀드(ETF)에 이른바 '서학개미'들의 돈이 몰리고 있다.

그러나 최근 미 장기채 ETF 수익률이 저조한 데다가 단기금리가 하락한다고 해도 장기금리에 대한 우려는 여전히 남아 있어 투자에 신중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5일 한국거래소와 한국예탁결제원 증권정보포털 세이브로를 보면 최근 1개월(7월 5일∼8월 4일)간 국내 투자자들은 미국 증시의 '디렉시온 데일리 20년 이상 미국채 3배' ETF를 1억2천218만달러(약 1천696억6천만원)어치 사들였다.

이는 만기가 20년 이상인 미 국채의 하루 수익률을 3배로 추종하는 고위험·고수익 ETF다. 채권 가격은 금리와 반비례하기 때문에 기준금리가 인하되면 큰 수익을 낼 수 있다.

해당 ETF의 지난 1일 기준 보관금액은 9억6천980만달러로 전 거래일보다 3천452만달러 증가했다.

국내 상장된 미국 장기채 ETF에도 자금이 몰렸다.

이날 KODEX 미국30년국채타겟커버드콜(합성H)' 거래대금은 106억5천만원, 'ACE 미국30년국채액티브(H)' 거래대금은 183억만원으로 전주(7월 29일) 대비 각각 40.8%, 55.1% 늘었다.

같은 기간 'TIGER 미국30년국채스트립액티브(합성H)' 거래대금은 68억2천만원에서 70억6천만원으로 3.4% 증가했다.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연준) 의장 (CG)

이처럼 미 장기채 ETF에 돈이 몰리는 이유는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다음 달 기준금리 인하에 나설 가능성이 커졌다는 인식이 확산하면서다.

실제로 지난 4일(현지시간) 미 노동시장의 약화를 시사하는 고용보고서 발표 후 급락했던 뉴욕 증시는 금리 인하 기대감이 부각되면서 하루 만에 반등했다.

'매파 성향'(통화긴축 선호)인 아드리아나 쿠글러 연준 이사가 돌연 퇴임하고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수일 내 금리 인하에 찬성하는 인사를 후임으로 임명할 가능성이 나온 것도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기준금리 인하 요구를 거부해온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을 거듭 공격하며 금리 인하를 촉구해왔다.

국내 증시도 이날 전장보다 39.40포인트(1.25%) 오른 3,187.15로 출발해 상승 폭을 키워 한때 3,212.31까지 올랐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금리선물시장은 연준이 9월 통화정책회의에서 기준금리를 현 4.25∼4.50%에서 0.25%포인트 낮출 확률을 96%로 반영했다.

다만 증권가에선 미 장기채 투자에 조심스러운 분위기가 일부 감지된다.

장기채 금리는 높은 변동성으로 인해 수익률이 정체돼 있기 때문이다.

지난 한 주(7월 25일∼8월 4일)간 KODEX 미국30년국채타겟커버드콜(합성H), 'ACE 미국30년국채액티브(H), TIGER 미국30년국채스트립액티브(합성H)의 수익률은 각각 1.3%, 1.2%, 2.2%에 그쳤다.

파월 의장을 교체한다 해도 구조적인 고금리 흐름을 되돌리기는 어렵다는 의견도 있다.

채권운용사 핌코의 공동창업자인 빌 그로스는 약달러에 따른 인플레이션과 재정적자를 이유로 10년물 미 국채 금리가 4.25% 아래로 내려가기 어렵다고 예상했다.

유진투자증권 김지나 연구원은 "시장은 항상 그랬듯이 듣고 싶은 대로 듣고 행동한다. 9월 인하에 대한 기대와 염원이 너무 크기 때문"이라며 "현재 미국채 10년 금리는 당일 급락으로 9월 인하 가능성을 70% 이상 반영한 수준으로 내려왔고, 추가 하락의 여지는 적다"고 예측했다.

미 노동시장의 약화를 시사하는 고용보고서 발표 후 급락했던 뉴욕증시가 4일(현지시간) 저가 매수세 유입에 하루 만에 반등 마감했다.

이날 뉴욕증시에서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585.06포인트(1.34%) 오른 44,173.64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91.93포인트(1.47%) 오른 6,329.94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403.45포인트(1.95%) 오른 21,053.58에 각각 마감했다.

미 노동부가 발표한 고용보고서가 예상을 크게 밑돌며 부진하게 나오면서 뉴욕증시 3대 지수는 직전 거래일인 지난달 1일 일제히 하락한 바 있다.

그러나 고용 사정 악화가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 인하를 앞당길 것이란 기대가 부상하면서 저가 매수세가 유입돼 지수 반등을 이끌었다.

미국 전기차업체 테슬라는 일론 머스크 최고경영자(CEO)에게 290억달러(약 40조원) 상당의 신주를 지급하는 보상안을 승인한 가운데 이날 2.17% 올랐다.

엔비디아(3.62%), 메타플랫폼(3.51%), 마이크로소프트(2.19%), 알파벳(3.12%) 등 주요 대형 기술주들도 큰 폭으로 반등했다.

다만, 클라우드 사업 부문 실적 우려가 대두된 아마존은 직전 거래일 8%대 급락에 이어 이날도 1.46% 떨어지며 하락세를 이어갔다.

지난 2일 실적을 발표한 버크셔해서웨이는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4% 감소한 데다 2분기 중 자사주 매입을 실시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서 2.9% 하락했다.

금융시장은 노동시장 약화와 '매파 성향'(통화긴축 선호)인 아드리아나 쿠글러 연준 이사의 퇴임을 반영해 9월 연준의 금리 인하를 개시할 것이라고 사실상 기정사실로 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금리선물시장은 연준이 오는 9월 통화정책회의에서 기준금리를 현 4.25∼4.50%에서 0.25%포인트 낮출 확률을 96%로 반영했다.

호라이즌 인베스트먼트의 마이크 딕슨 리서치·퀀트전략 수석은 "오늘 저가 매수세가 다소 유입됐다"며 "노동시장 우려가 대두됐지만 금리인하 기대 강화가 이를 상쇄하는 모습"이라고 말했다.

인공지능(AI) 기반 데이터 분석 소프트웨어 업체 팔란티어는 지난 2분기 10억 달러(1조3천860억원) 매출과 주당 0.16달러(221원) 순이익을 기록했다고 4일(현지시간) 밝혔다.

매출은 시장조사 업체 LSEG가 집계한 9억4천만 달러를 웃돌며 사상 처음 매출 10억 달러를 찍었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8% 증가했다.

분석가들은 팔란티어가 올해 4분기에야 10억 달러 매출을 달성할 것으로 예상했지만, 이를 앞당겼다.

주당 순이익도 예상치 0.14달러를 상회했다.

팔란티어는 올해 매출 전망치를 41억4천200만 달러∼41억5천만 달러로 제시하며, 기존 38억9천만∼39억 달러에서 상향 조정했다.

팔란티어 최고경영자(CEO) 알렉스 카프는 주주 서한에서 "수년간의 투자와 외부의 조롱을 견디며 이제 우리의 사업 성장 속도가 급격히 가속화되고 있다"며 "회의론자들은 이제 힘을 잃고 우리에게 굴복했다"고 말했다.

이어 "대규모 언어모델(LLM)의 도래, 이를 구동할 칩, 그리고 우리의 소프트웨어 인프라가 맞물리며 가파른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고 강조했다.

팔란티어의 미국 매출은 전년 대비 68% 증가한 7억3천300만 달러를 기록했고, 민간 부문 매출도 지난해 같은 기간의 두 배인 3억600만 달러로 늘었다.

특히,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정부 효율화 정책의 수혜를 입으면서 미국 정부 매출은 전년 대비 53% 증가한 4억2천6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이날 뉴욕 증시 정규장에서 팔란티어 주가는 전 거래일 대비 4.14% 상승한 160.66달러에 마감했다. 이는 종가 기준 역대 최고치로, 지난해 말 75.63달러 대비 두 배 이상 올랐다.

이날 실적 발표 후 시간외 거래에서도 주가는 5% 이상 상승했다.


김대호 글로벌이코노믹 연구소장 tiger8280@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