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와 테슬라가 자율주행차 ‘로보택시’ 관련 발언과 기술 위험성을 숨긴 혐의로 주주들로부터 집단 소송을 당했다.
로보택시는 테슬라의 미래 전략 핵심으로 여겨지고 있는 만큼 이번 소송은 기업가치와 신뢰도에 상당한 타격이 될 전망이다.
6일(이하 현지시각)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이 소송은 지난 6월 말 미국 텍사스주 오스틴에서 테슬라가 처음 공개적으로 로보택시 시범 운행을 실시한 직후 제기됐다.
이 시연에서는 차량이 과속하거나 급정지하고 보도를 넘어가거나 잘못된 차로로 진입하는 등 안전상 문제가 확인됐다. 일부 승객은 다차로 도로 한가운데서 하차하기도 했다.
이같은 장면이 공개된 이후 테슬라 주가는 이틀간 6.1% 하락했고, 시가총액 약 680억 달러(약 91조9800억 원)가 증발했다.
◇ 로보택시 기술력 ‘허위·과장’ 의혹
소장을 제출한 주주 측은 머스크와 테슬라가 자율주행 기술의 실현 가능성과 성과를 지속적으로 부풀려 투자자들을 오도했다고 주장했다.
특히 지난 4월 22일 컨퍼런스콜에서 머스크는 “로보택시를 6월에 오스틴에 도입하는 데 모든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고 언급했고 테슬라도 같은 날 “다양한 지역과 활용사례에서 안전하고 확장 가능한 배치를 실현할 것”이라고 밝혔다.
원고인 주주 데니스 모랜드는 이같은 발언과 실제 기술 수준의 괴리를 문제삼아 텍사스 서부지방법원에 소송을 제기했다. 소송은 2023년 4월 19일부터 2025년 6월 22일 사이 주식을 보유한 주주 전체를 대상으로 한다. 피고인에는 머스크와 테슬라 외에도 비아브하브 타네자 최고재무책임자(CFO)와 전임 CFO였던 재커리 커크혼도 포함됐다.
◇ 실적 악화 속 정치 리스크도 부담…배상 평결도 영향
테슬라가 로보택시 확대에 공을 들이는 배경에는 기존 전기차 수요 둔화와 머스크의 정치 성향에 따른 소비자 반감이 있다. 머스크는 올해 말까지 미국 인구 절반을 대상으로 로보택시 서비스를 제공하겠다는 목표를 밝힌 상태지만, 규제 당국과의 협의와 대중 신뢰 확보가 여전히 큰 과제로 남아 있다.
이번 소송에 앞서 지난 1일 미국 플로리다주 배심원단은 2019년 자율주행 소프트웨어 관련 교통사고에 대해 테슬라의 책임을 33% 인정하고 피해자들에게 약 2억4300만 달러(약 3287억 원)의 배상 판결을 내린 바 있다. 테슬라는 운전자의 책임을 주장하며 항소할 계획이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