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알루미늄 수입품에 50%의 고율 관세를 부과한 반면, 정제 구리는 관세 대상에서 제외하면서 시장의 주목을 받고 있다.
이는 금속 산업 내 에너지 비용 차이와 기업 로비의 영향력이 미 정부 정책에 직접 작용하고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는 분석이다.
6일(이하 현지시각)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미국 정부는 지난주 정제 구리에는 관세를 부과하지 않기로 결정한 반면에 구리 와이어·튜브·시트 등 반제품에는 세금을 매기기로 했다. 이같은 결정 이후 미국 뉴욕상업거래소(COMEX)에서 구리 가격은 20% 이상 하락했다.
◇ 알루미늄에는 ‘전면 부과’…구리는 ‘제외’
미국 정부는 자국 내 제련 산업을 보호하고 수입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이런 조치를 취했다고 밝혔으며 알루미늄 생산업체인 센추리 알루미늄은 이를 적극 지지하고 있다.
센추리 알루미늄은 6월 발표한 성명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국가 핵심 금속의 자국 생산을 수호하는 데 확고한 방침을 보여준 것을 환영한다”며 “관세는 미국 알루미늄 제련 산업의 생존을 위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반면, 정제 구리는 미국 내 제조업에 필수적인 자원으로 평가받으며 로비력이 강한 산업이다.
특히 미국 최대 구리 생산업체 중 하나인 프리포트 맥모란은 올해 초 미국 정부의 의견 수렴 절차에서 “글로벌 무역 전쟁은 미국 구리 산업을 위협할 수 있다”고 경고한 바 있다. 프리포트는 “세계 경제 성장 둔화는 구리 가격 하락으로 이어지고 이는 높은 생산비 구조를 가진 미국 구리 산업의 존립을 위태롭게 할 수 있다”고 밝혔다.
◇ 에너지 비용 비중도 관세 차별에 작용
맥쿼리의 분석에 따르면 알루미늄 제련 비용 중 에너지 비중은 약 50%에 달하는 반면 구리 정련은 30% 수준으로 상대적으로 낮다.
맥쿼리의 마커스 가비 애널리스트는 “정부의 대대적인 지원 없이는 미국에서 신규 알루미늄 제련소를 세우는 것이 경제적으로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미국은 전력 비용이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며 이는 아랍에미리트(UAE), 바레인, 중국 등 주요 알루미늄 생산국에 비해 경쟁력을 약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장기적인 전력 공급 계약이 확보되지 않는 한 미국에서 알루미늄 제련 산업에 투자할 유인은 매우 낮다”고 지적했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