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초점] 한국 조선업, 트럼프 ‘조선 부활’의 핵심 파트너 부상

글로벌이코노믹

[초점] 한국 조선업, 트럼프 ‘조선 부활’의 핵심 파트너 부상



울산광역시에 위치한 HD현대중공업 조선소 전경.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울산광역시에 위치한 HD현대중공업 조선소 전경. 사진=로이터


한국이 미국 조선업 재건의 동맹 파트너로 떠올랐다.

이재명 대통령이 이번 방미 일정에서 1500억달러(약 209조원) 규모의 대미 조선 투자 계획을 내세우면서다.
그 이면에는 법적 제약·인력난·정치적 셈법이 교차한다는 분석이다.

◇트럼프의 ‘조선 부활’ 구상과 한국의 역할

26일(이하 현지시각) 로이터통신, 블룸버그통신 등 주요 외신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중국이 세계 조선시장을 장악하고 있다는 점을 거듭 강조하며 “다시 조선업에 뛰어들겠다”고 선언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한국의 참여가 이 구상을 실현할 유력한 카드로 보고 있다.

그러나 아울러 주목해야 할 대목은 트럼프 대통령이 이 대통령과 만난 자리에서 한국산 선박 구매를 병행하겠다는 점을 시사했다는 사실이다. 즉 단순히 미국 내 조선소만 키우는 것이 아니라 단기적으로는 한국에서 건조한 선박을 직접 들여와 공백을 메우겠다는 계산이 깔려 있다는 뜻이다.

◇‘법의 벽’과 현실적 제약

미국의 존스법과 번스-톨레프슨 수정안은 미국 내 조선소 건조 의무를 규정하고 있어 한국 기업의 직접 건조 참여에는 여전히 한계가 있다. 이 대통령의 정상회담에 동행한 위성락 대통령실 안보실장은 “제도 개선을 전제로 한 우회적 협력 방안 연구가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즉각적인 효과보다는 제도 개편 여부가 성패를 좌우할 전망이 나오는 이유다.

◇인력과 생산 현실: 한국 조선소와의 격차

트럼프가 한국에 큰 기대를 거는 이유는 미국 조선소의 구조적 취약성 때문이란 지적이다. 정승기 한화오션 특수선해외사업단 부사장은 “현지 노동자 교육에만 4~5년이 걸릴 수 있다”고 전망했다. 실제로 한화는 자동용접 설비 도입과 유휴 도크 활용으로 속도를 높이려 하지만 철판 등 핵심 자재 조달이 또 다른 병목으로 지적된다. 이는 한국의 기술력 이식만으로 단기간에 성과를 거두기 어렵다는 점을 시사한다.

◇정치·전략적 함의

이번 대규모 투자에는 단순한 경제 효과 이상의 정치적·전략적 의미가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미국 내에서 트럼프 행정부의 보호무역주의가 강화되는 상황에서 한국은 “미국 내 일자리 창출 + 동맹 강화”라는 두 가지 키워드로 대응하고 있다. 동시에 이는 중국 조선업에 대한 견제 효과를 노린 포석이기도 하다. 다만 트럼프 특유의 돌발적 협상 스타일이 변수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